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끝
나중
다음
배후
뒤쪽
후방
꽁무니
d라이브러리
"
뒤
"(으)로 총 9,103건 검색되었습니다.
'좀비 바퀴벌레' 만드는 방법
과학동아
l
200801
그 물질을 찾기 위해 신경전달물질과 똑같은 기능을 하는 화학물질을 몇 종류 만든
뒤
, 말벌의 침을 맞고 좀비가 된 바퀴벌레에 차례대로 주입하는 실험을 했다. 그 결과 옥토파민이라는 신경전달물질을 주입했을 때 좀비 상태이던 바퀴벌레가 정상으로 돌아온다는 걸 알아냈다. 즉 이 말벌이 침을 ... ...
올 겨울 유성우 전망
과학동아
l
200801
쌓여 삼각형 모양을 이룬 지형빙하의 침식으로 만들어진 골짜기에 빙하가 사라진
뒤
바닷물이 들어와 생긴 좁고 긴 만 가로로 자른 면은 U자 모양을 이룬다하천이 산악지형에서 갑자기 완만한 평지로 흐를 때 산기슭에 자갈과 모래가 부채꼴로 퇴적해 생긴 지형공간의 한 지점에서 자기장의 크기를 ... ...
특집01 전자회로 설계하듯 생명체 디자인한다
과학동아
l
200801
‘인공 정족수 인식회로’를 만들어 이런 생체조절 메커니즘이 없는 대장균에 주입한
뒤
이 유전자회로가 잘 작동한다는 사실을 확인했다.리아오 교수는 대장균의 대사산물인 아세트산을 대장균이 서로를 인식하게 하는 신호 물질로 이용했다. 그리고 대장균이 많이 모일수록 증식 속도가 빨라지게 ... ...
과학자들의 친구 쥐
과학동아
l
200801
“2003년 세계적으로 팔리는 100대 약은 전부 실험쥐에 전임상 과정을 거친
뒤
시판됐다”고 보도한 바 있다.실험용 쥐는 일반 시궁창 쥐와는 서식지부터가 다르다. 실험용 쥐는 일명 ‘쥐 아파트’라고 불리는 곳에서 자란다. 투명한 플라스틱 통에 쥐가 2~3마리씩 들어 있다. 제한된 공간에 쥐의 ... ...
초미세 생체현상 속에 답이 있다
과학동아
l
200801
만드는 일은 순식간이다. 따라서 하나의 아이디어가 떠오르면 일단 실험으로 재현해 본
뒤
특허등록 과정을 거친다. 그 다음에 국제학회에 보고하거나 논문으로 발표한다. 당연히 연구단 안에서도 ‘입단속’이 심하다.지금까지 디지털나노구동연구단이 출원한 특허 수는 국내 23건, 해외 12건에 ... ...
타자는 젖은 야구공을 싫어할까
과학동아
l
200801
이 속설을 확인하기 위해 야구공 15개를 습도가 각각 32%, 56%, 74%인 방에 2주 동안 보관한
뒤
공의 무게와 지름을 측정했다. 그리고 이 데이터를 이용해 컴퓨터로 공이 날아가는 높이와 거리를 계산했다. 그 결과 습기가 많은 공일수록 멀리 날아가지 못했다. 하지만 그 차이는 최대 60cm에 불과했다. ... ...
북극 종자은행, 냉각 시작
과학동아
l
200801
공전궤도면에 수직인 축에 대해 235˚ 기울어져 있는 지구의 자전축이 팽이처럼
뒤
뚱거리며 움직이는 현상정자가 이동하는 관은 막혀있지 않지만, 유전적 문제 때문에 정원줄기세포로부터 정자를 생산하지 못하는 남성 불임환자스스로 자석이 되는 물질 강자성체 안에 있는 전자들의 스핀이 모두 한 ... ...
PART 1 태안의 기억을 채집하다
과학동아
l
200801
연구하기 위한 목적이 아니었다. 굳은 사명감이 없었다면 어촌계의 전화번호를
뒤
져 피해지역을 찾아다니고 가능한 많은 양의 시료를 확보하기 위해 태안반도를 샅샅이 누빌 수 없었을 것이다. 지난 여수 사고 현장에서는 초기시료를 확보하지 못해 생물체에 남아있는 유류 독성물질을 연구하는 데 ... ...
'반 고흐전'의 한국행 비밀을 벗겨라
과학동아
l
200801
꼼꼼히 살피며 컨디션리포트를 작성했다. 작품의 상태를 미리 기록해둬야 한국에 운반한
뒤
훼손된 곳이 없는지 비교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 다음 작품의 표면을 중성종이로 감쌌다. 중성종이는 작품에 잘 밀착될 뿐만 아니라 그림을 안전하게 보존할 수 있다.일반적으로 쓰는 종이는 대부분 산성을 ... ...
PART 1 한국 최초 우주인 탄생 D-99 체크리스트
과학동아
l
200801
지구로 돌아오기 전 고층대기의 풍속이나 이온층의 밀도에 대한 정보를 입력한
뒤
완전 자동상태로 대기권에 돌입한다”며 “기계적인 고장이 라기보다는 대기 상태에 대한 정확한 데이터를 입력하지 못해서 생긴 문제일 것”이라고 말했다.러시아의 50년 우주개발 역사 동안 큰 사고는 없었지만 ... ...
이전
508
509
510
511
512
513
514
515
51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