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해석
직역
풀이
설명
해설
의역
해독
뉴스
"
번역
"(으)로 총 1,165건 검색되었습니다.
올해 웨어러블 기술 키워드 '증강현실'과 '음성인식'
2019.01.05
WT2는 서로 다른 언어를 사용하는 두 사람이 각자 모국어로 말하면, 실시간으로
번역
된 내용이 이어폰을 통해 다시 자신의 모국어로 들리게 해줍니다. 단일 스마트폰으로 다중화된 음성 통신을 처리하는 이 시스템에는 무선 통신, 지식 알고리즘, 음성 변환 등이 통합해 있습니다. 현재 중국어, ... ...
[표지로 읽는 과학] 2018년을 빛낸 획기적 연구 성과
동아사이언스
l
2018.12.22
DNA의 염기가 해독돼 우리 몸에 필요한 단백질이 생성되는 과정을 ‘
번역
’이라 한다.
번역
과정을 시작하거나 멈추기 위해 작용하는 물질 중 하나가 단일가닥의 염기로 이뤄진 RNA 전사체다. 발달 과정에서 생기는 RNA 전사체를 따라가면 무슨 세포로도 분화될 수 있었던 배아세포가 간이나 ... ...
당신 얼굴에 사는 벌레의 얼굴
팝뉴스
l
2018.12.20
위 사진은 미국의 최대 인터넷 커뮤니티인 레딧에 최근 공개된 이미지. 소개 글은 이렇게
번역
할 수 있다. “외롭나요? 외로워마세요. 모낭충은 당신 얼굴에 사는 진드기입니다. 친구는 영원해요” 사람 얼굴에 사는 진드기의 얼굴을 최대 확대하니 이렇게 무서울 수가 없다. 아마 저 진드기들은 ... ...
[노벨상 시상식]효소와 항체 생산의 진화를 이끌다
2018.12.08
이뤄지는 것이다. 그간 많은 언론 보도에서 ‘directed evolution’을 ‘유도 진화’라고
번역
했지만, 필자는 ‘방향적 진화’라는 용어가 더 적합하다고 생각한다. 프랜시스 아놀드 교수가 10월 3일 (현지 시각) 노벨 화학상 발표 이후 캘리포니아공대에서 진행한 기자회견에서 그의 제자들과 함께 ... ...
"SF를 키우는 힘은 다양성" 세계 무대에서 활약하는 한국계 작가들
동아사이언스
l
2018.12.06
드라마 작가의 꿈을 키웠다. 하지만 졸업 뒤에는 3년간 한국에 머물며 국립극장의 창극
번역
등을 하며 때를 기다려야 했다. 하지만 불현듯 “내 이야기, 내 목소리를 내고 싶다”는 생각에 다시 미국에 건너가 본격적인 작가 수업에 들어갔다. 대학원을 마친 뒤 경쟁률 높기로 유명한 CBS의 작가 ... ...
“韓, 소형 재사용로켓 개발하면 새 시장 선점할 것”
동아사이언스
l
2018.11.18
번역
본으로도 출간됐다. 이기주 항우연 한국형발사체개발사업본부 선임연구원이 기획과
번역
을 맡았다. 스티넌 대표는 “지금 소설을 다시 쓴다면 재사용로켓에 수소연료 대신 메탄연료를 쓰는 것으로 내용을 바꾸고 싶다”며 “앞으로는 메탄연료가 주목을 받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 ...
접촉 사고 낸 사람의 메모
팝뉴스
l
2018.11.06
낙서 같은 것이 씌어 있을 뿐이었다. 두 번째 줄에는 알아볼 수 있는 단어인데
번역
하면 이렇다. “미안해요. 우하하” 접촉 사고를 낸 운전자는 주변 사람들의 시선을 의식해서 연락처를 남기는 듯 메모를 썼다. 그러나 연기였다. 아무런 내용이 없었다. 오히려 피해 차량의 차주를 놀렸다. ... ...
우주팽창 설명한 '허블의 법칙'이름 바뀐다…새 이름 ‘허블-르메트레 법칙’
동아사이언스
l
2018.11.02
당신의 물리는 말이 안 된다”고 폄하해 주목을 받지 못했다. 논문은 1931년에 영어로
번역
됐다. 박일흥 성균관대 물리학과 교수는 “르메트레는 빅뱅우주론을 제창한 조지 가모브 이전에 우주가 세포가 분열하듯 팽창한다는 물리적 관점을 제시했다”며 “이 같은 발상에 대해 아인슈타인이 비웃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장수 비타민을 아시나요
2018.10.31
하게 만든 ‘우선권 이론’을 소개한다. 사실 ‘triage theory’를 우선권 이론이라고
번역
하는 게 맞는지 모르겠다. 영어사전을 보면 ‘triage’는 ‘사고나 전쟁으로 다친 사람들을 빠르게 검사해 먼저 치료를 받아야 하는 중환자를 선별하는 과정’이라고 나와 있다. 환자수에 비해 의료진이 부족할 때 ... ...
인간 '생체시계' 가진 생쥐로 파킨슨병 원인 밝힌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0.20
유전자를 읽는 단계(전사) 말고, 읽어낸 유전 정보(mRNA)를 단백질로 변환하는 과정(
번역
)에서 일주기리듬을 조절할 수 있다는 사실을 최초로 밝힌 과학자다. 그는 이 과정을 조절하는 단백질인 TYF와 ATX2을 초파리에서 발견했다. 최 교수는 “이 가운데 ATX2를 만드는 유전자는 사람도 가지고 ... ...
이전
57
58
59
60
61
62
63
64
6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