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해석
직역
풀이
설명
해설
의역
해독
d라이브러리
"
번역
"(으)로 총 1,270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1. 튜링을 만나다
과학동아
l
201206
독일 해군의 암호를 담당했지요. 저희가 암호를 해독해서 헛-4에 넘기면 그곳에서 영어로
번역
해서 작전에 활용했어요.기자 지금 지하에 있는 전시관에 내려와 있는데 대단하네요. 박사님이 개발하셨던 암호해독기 ‘봄(BOMBE)’이 복원돼 있어요. 박사님이 쓰신 논문과 개인 용품까지 전시돼 있군요. ... ...
시로 읊고 퍼즐로 푼다! 수학 삼국지
수학동아
l
201206
삼각함수는 유럽에 전해져 수학의 발전에 큰 도움이 됐다.인도의 수학 책이 중국어로
번역
돼 중국에 전해지기도 했다. 큰 수와 작은 수의 이름에서 인도의 영향을 찾을 수 있다. ${10}^{128}$은 무량수라고 불리는데, 이는 인도의 불경에서 유래한 이름이다.하지만 인도 수학은 계속 발전하지 못했다 ... ...
Part3. 비판과 한계
과학동아
l
201205
함부로 사용하기 어려운 주제”라고 말했다. 박병철 대진대 물리학과 교수(과학
번역
가)는 “수학적으로도 대단히 까다로운 가정”이라고 말했다. 그린 교수도 ‘멀티 유니버스’에서 “우주의 크기가 무한이라면 시간이 0일 때(탄생 시점) 우주가 아주 작은 점이었다는 가정을 할 수 없다”는 예를 ... ...
수학이 있어 더 행복한 날, π-day!
수학동아
l
201204
안녕하세요. 고등과학원에서 기초과학을 연구하고 있는 김재완 교수입니다. 3월 14일 파이파티에 수학을 사랑하는 수학동아 독자기자 여러분을 초대합니다. 원주율 π에 대한 재밌는 이야기와 즐거운 체험활동까지, 수학이 있어 더 행복한 파이파티를 준비해 놨어요. 파이파티는 정확히 원주율 숫 ... ...
생물학의 대가, 에세이를 쓰다
과학동아
l
201204
흐르는 일이 없다. 이 책은 시리즈로 나올 예정이며, 국내 최고로 꼽히는 전문 과학
번역
가들이 참여하고 있다.굴드의 이력에서 이색적인 것은 101편의 서평이다. 그의 탁월한 글쓰기 솜씨가 하늘에서 떨어진 게 아니라는 사실을 짐작하게 한다. 마침 우리나라에서도 생물학자의 서평 책이 나왔다. ... ...
입시를 목표로 공부하지 마세요
과학동아
l
201204
한 것이다. 책을 읽다가 모르는 말이 나오면 일일이 사전이나 인터넷을 찾았다. 잘못
번역
된 단어를 찾아내는 일도 재미가 쏠쏠했다.“신기한 게 있으면 막 들떠서 부모님께 ‘이거 신기하지 않아? 이런 게 있는데…’하고 앞에서 강의를 했죠. 부모님은 제가 생물에 너무 빠져 있어서 몸이 상할까봐 ... ...
태양과 ‘맞짱 뜬’ 혜성
과학동아
l
201203
태양계에서 가장 온도가 높고 중력이 강한 태양. 여기에 차갑고 부서지기 쉬운 혜성이 돌진하는 모습을 눈으로 볼 수 있을까. 미국항공우주국(NASA)의 태양관측위성 SDO(Solar Dynamics Observatory)가 작년 7월 태양에 접근했던 혜성이 소멸하는 현장을 촬영하는 데 성공했다. 혜성이 태양 표면을 가로지르고 ... ...
우주에 또다른 내가 산다?
과학동아
l
201203
스몰린의 책을
번역
했고 서스킨드의 끈이론으로 박사학위를 받은 김낙우 경희대 교수가
번역
해 전문적인 내용을 잘 살렸다.다중우주든 메가버스든 풍경이든, 용어는 중요하지 않다. 우주는 여럿 존재할 수 있다. 이론물리학자들이 수학을 정교하게 가다듬고 천문학자들이 더 많은 자료를 관측해 ... ...
유전자 적중과 배아줄기세포
과학동아
l
201203
즉 DNA에 저장된 정보는 먼저 전사 과정을 통해 mRNA로 전달된다. mRNA로 전달된 정보는
번역
과정을 통해 단백질 합성에 사용된다. 이렇게 유전자에 의해 단백질이 합성되는 현상을 발현이라고 한다. 합성된 단백질은 우리 몸에서 다양한 기능을 해 머리카락의 색, 혈액형과 같은 개체의 형질을 ... ...
[정보] 수학으로 지키는 우리 문화재
수학동아
l
201203
“문화재를 파먹으면 아니아니~ 아니 돼요!” 그런데 아무리 안 된다고 설득해도 흰개미는 도통 말을 듣지 않아. 그렇다면 국가수리과학연구소(이하 수리연) 가상생태계연구팀에게 해결책을 묻는 수밖에 없겠군. 흰개미 피해를 수학적으로 줄이기 위한 연구가 이 곳에서 진행 중이라는 정보를 입 ... ...
이전
74
75
76
77
78
79
80
81
8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