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끝
나중
다음
배후
뒤쪽
후방
꽁무니
d라이브러리
"
뒤
"(으)로 총 12,833건 검색되었습니다.
[역설 나라의 앨리스] 제 10장. 무한한 사전
수학동아
l
2022년 11호
는 동일한 책이 됩니다. 따라서 를 A부터 Z까지 총 26권으로 분권한
뒤
각 에디션의 앞 글자를 생략하면 26개의 이 만들어집니다. 26개가 만들어지는 것과 같아요. 편집장 입장에서는 횡재군요! ♠ 선택 공리가 만드는 신기한 현상 바나흐-타르스키 ... ...
[수학 뉴스] 수학자 박진영 교수 ‘실리콘밸리의 노벨상’ 수상
수학동아
l
2022년 11호
수상자로 선정했다고 밝혔어요. 이 상은 2014년 여성 최초로 필즈상을 수상한
뒤
, 2017년 암으로 세상을 떠난 이란 수학자 故 마리암 미르자하니를 기리기 위해 2019년 처음 생겼어요. 최근 2년 이내 박사 학위를 취득하고 중요한결과를 낸 여성 수학자에게 상과 함께 50,000달러(약 7165만 원)의 상금을 ... ...
[나도 수학쌤 문장제 문제] #10. 골라 푸는 재미가 있다! 이차방정식의 해 구하기
수학동아
l
2022년 11호
해를 구하기 위해서는 문제의 뜻을 잘 이해하고 구하고자 하는 값을 미지수로 정한
뒤
해를 구하면 되는데요. 해를 구하는 방법이 여러 개라 골라 푸는 즐거움이 있답니다. 중학교 3학년 ‘이차방정식’ 단원에서는 이전에 배운 다항식의 연산과 일차방정식의 풀이법을 활용해서 해를 구할 수 ... ...
[과학뉴스] 파동으로 실시간 충전하는 무선 수중 카메라
과학동아
l
2022년 11호
이번에 개발한 카메라는 촬영한 사진도 음파로 전송한다. 촬영한 데이터를 인코딩한
뒤
이미지를 재구성하는 수신기로 전송하는데 이때도 음파를 사용한다. 연구팀은 40m 거리에 떨어진 수신기에 데이터를 보내는 데 성공했다. 아디브 교수는 “하드웨어를 최소화하면서, 시스템을 구축하고 ... ...
[특집] 무엇이 그들을 지하로 이끌었을까? 중성미자와암흑물질
과학동아
l
2022년 11호
빅뱅이 있었다. 빅뱅의 엄청난 에너지는 물질과 반물질을 만들었다. 그러나 0.0000000001초
뒤
반물질이 홀연히 사라졌다. 지금 우리의 우주는 물질로만 이뤄져 있다. 첫 번째 미스터리다. 우주에 남은 물질들은 서로 뭉쳐 별과 은하를 만들었다. 하지만 이들의 움직임이 어딘가 수상하다. 은하의 회전 ... ...
[카타르 월드컵, 과학으로 즐기기] 인공지능이 예측하는 한국 16강 진출 확률은?
과학동아
l
2022년 11호
한국시간) 포르투갈과 차례로 맞붙는다. 한국은 2010년 남아공 월드컵에서 16강에 진출한
뒤
계속 16강 도전에 실패했다. 최근 12년간 16강 진출에 실패한 적 없는 우루과이는 루이스 수아레스, 에딘손 카바니 등 전설로 불리는 선수들을 중심으로 한국과 맞붙는다. 때문에 해외 게임배팅 회사에서 ... ...
[어덕행덕] 필름 덕후가 알려주는 입덕 가이드 카메라
과학동아
l
2022년 11호
합니다. 반면 디지털카메라는 디지털 센서를 통해 피사체의 상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한
뒤
기록하는 식입니다. 이미지 센서가 필름의 역할을 하는 거죠. 그는 어쩌다 이렇게 19세기 촬영기법 같은 생소한 분야에 빠지게 됐을까요. 관우 씨는 “필름카메라의 매력은 기다림만이 아닌 다양한 렌즈를 ... ...
인공지능의 내일에는 눈과 입, 귀가 모인다
과학동아
l
2022년 11호
이은 AI가 93.27점으로 큰 차이가 없습니다. 반면 숫자를 묻는 문제에서는 사람이 80.84점,
뒤
를 이은 AI가 74.85점으로 큰 차이가 벌어집니다.최근에는 사용자가 쓴 내용을 바탕으로 이미지를 만들어 주는 ‘텍스트 투 이미지’ 모델도 등장하고 있습니다. 인공지능 연구소인 오픈AI가 개발한 달리(DALL·E ... ...
[이달의 책] 바다로 돌아간 제돌이는 잘 살고 있을까
과학동아
l
2022년 11호
수상할 줄은. 책 제목의 ‘화석맨’은 오래된 뼈를 트럭 가득 수집하고, 시대에
뒤
떨어졌다고 경멸받는 분야를 고독하게 연구하는 이들을 뜻한다. 이번 결과는 화려하게 뽐내지 않아도 꾸준히 제 갈 길을 간 화석맨들이 이뤄낸 성과다. 그래도 누군가는 기대하지 않았을까. 진짜를 알아본 누군가가 ... ...
2022 노벨 물리학상 I 벨 부등식 위배 입증 양자역학 논쟁을 끝내다
과학동아
l
2022년 11호
현재는 광자뿐 아니라 다양한 물리계들을 이용해 더 많은 수의 큐비트를 얽히게 한
뒤
이용하는 연구들이 보고되고 있다. 양자정보기술의 발전이 인류의 삶을 어디까지 바꿀지는 아직 모른다. 분명한 것은 우리가 이 변혁을 지켜보는 시대에 살고 있다는 것이다 ... ...
이전
78
79
80
81
82
83
84
85
8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