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끝
나중
다음
배후
뒤쪽
후방
꽁무니
d라이브러리
"
뒤
"(으)로 총 12,833건 검색되었습니다.
[SF소설] 블랙홀 뺑소니
과학동아
l
2022년 11호
공기가 묵직해졌다. 그가 다시 무언가를 보고 읽었다.“여러분들 시간으로는 정확히 5분
뒤
에 항성 하나가 이리로 올 겁니다. 곧장 바로 이 장소에 부딪히겠죠.”내가 아득한 표정을 짓자, 그가 부드러운 목소리로 이어 말했다.“그래도 다행이에요. 아마 충돌하기 오래전에 여러분들은 모두 이 ... ...
[화보] 감자칼로 피아노를, 솔로 복어를? 그림자가 예술이 된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2년 11호
물체
뒤
에 생기는 어두운 그림자를 보면 어쩐지 무채색의 단조로운 느낌이 들어요. 벨기에의 예술가인 빈센트 발은 일상적인 사물의 그림자에 색과 그림, 그리고 재미있는 아이디어를 더했어요. 빈센트 발 작가의 개성 넘치는 작품 세계를 함께 감상해요! ...
[우주 순찰대원 고딱지] 플래닛 5종 경기 고딱지 대표선수 출전!
어린이수학동아
l
2022년 11호
“찾았다!”깜짝 놀라서 돌아보니 누군가 초록색 바늘을 손에 들고 있었습니다. 그
뒤
로 몇 명이 더 초록색 바늘을 들고 일어섰습니다. 그중에는 로렌스 선배도 있었습니다.‘저 사람들은 눈에 뭐가 달리기라도 한 건가?’딱지는 마음이 급해졌습니다. 이러다간 페가수스 선장에게 인상을 ... ...
[기획] 수리생물학 노트 I, 새는 어떻게 날까?
수학동아
l
2022년 11호
peregrinus 날개 특징먹이를 발견하면 공기 저항을 줄여 빠르게 내려가기 위해 긴 날개를
뒤
로 접어서 몸을 유선형으로 만든다.비행 특징가장 까다로운 비행 행동 중 하나인 급강하를 통해 착륙하는 새로, 비행을 제어하는 능력이 뛰어나다. 최대 비행 속도는 약 90m/s로 매우 빠르다. ☆ 2022년 그레이엄 ... ...
[수학자와 함께 마인크래프트] # 레드스톤 회로 정복하기, 자동 수확 기계로 야생에서 살아남기
수학동아
l
2022년 11호
신호를 보내고 차단하도록 만들면 됩니다. 그래서 피스톤마다 레드스톤 가루를 연결한
뒤
마지막으로 레버와 연결하면 돼요. 레버를 내리면 길게 연결된 가루를 따라 신호가 흐르고, 그 신호는 나란히 연결된 피스톤으로 전달되는 거지요. 이제 댐과 수문을 기준으로 아래에 농장을 만들어 주면 자동 ... ...
몸집 작은 상어와의 먹이경쟁에 밀려 멸종? 메갈로돈
과학동아
l
2022년 11호
현존 어류 중 가장 큰 생물체인 고래상어와 비슷한 크기다. 연구팀은 “3D 모델링을 한
뒤
무게를 추정하고, 속도와 칼로리 소모량 등 생물학적 특성을 설정했다”며 “분석 결과 현재 바다에서 최상위 포식자로 꼽히는 범고래 크기의 고래를 단 다섯 입에 물어 해치울 수 있었을 것”이라고 말했다 ... ...
[어덕행덕] 필름 덕후가 알려주는 입덕 가이드 카메라
과학동아
l
2022년 11호
합니다. 반면 디지털카메라는 디지털 센서를 통해 피사체의 상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한
뒤
기록하는 식입니다. 이미지 센서가 필름의 역할을 하는 거죠. 그는 어쩌다 이렇게 19세기 촬영기법 같은 생소한 분야에 빠지게 됐을까요. 관우 씨는 “필름카메라의 매력은 기다림만이 아닌 다양한 렌즈를 ... ...
[슬기로운 세특 생활] 연세대 의과대학에 입학한 건에 대하여
과학동아
l
2022년 11호
살펴보길 추천합니다. 저는 최대한 다양한 주제를 나열하며 브레인스토밍을 먼저 한
뒤
안될 것 같은 아이디어를 쳐내고 몇 개 주제만 논문을 찾아봤습니다. 이때도 한글로 돼 있는 논문을 찾아 읽고 고등학생 수준에서 진행할 수 있는 실험을 탐구 주제로 골랐습니다. 세부능력및특기사항 과학 : ... ...
2022 노벨 물리학상 I 벨 부등식 위배 입증 양자역학 논쟁을 끝내다
과학동아
l
2022년 11호
현재는 광자뿐 아니라 다양한 물리계들을 이용해 더 많은 수의 큐비트를 얽히게 한
뒤
이용하는 연구들이 보고되고 있다. 양자정보기술의 발전이 인류의 삶을 어디까지 바꿀지는 아직 모른다. 분명한 것은 우리가 이 변혁을 지켜보는 시대에 살고 있다는 것이다 ... ...
[특집] 4교시 "바다와 사람을 존중하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22년 10호
바다의 흐름은 크게 두 가지예요. 연안의 해안선을 따라 흐르는 연안류와 육지에 부딪힌
뒤
다시 한번에 바다로 돌아나가는 이안류지요. 이안류는 폭이 좁고 초당 2~3m 이동하는 빠른 특징이 있어요. 이승대 대표는 “박태환 선수가 올림픽 400m 수영경기에서 금메달을 땄을 때의 속도를 환산하면 초당 ... ...
이전
80
81
82
83
84
85
86
87
8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