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끝
나중
다음
배후
뒤쪽
후방
꽁무니
d라이브러리
"
뒤
"(으)로 총 12,833건 검색되었습니다.
EPISODE3 인류구원프로젝트
과학동아
l
2008년 02호
소행성이 지구를 강타해 인류가 멸망할지도 모르기 때문이다.아니면 인류가 수억 년
뒤
과학기술을 눈부시게 발전시켜 지구를 떠나 다른 행성에서 보금자리를 찾게 될지도 모른다. 그때가 되면 지구는 후대의 젊은이들이 수학여행 삼아 찾아와 자신들의 근원을 배우는 유적지가 되지 않을까 ... ...
행복의 과학
과학동아
l
2008년 02호
그러나 입술로 잡고 있으면 삐친 것처럼 퉁명스런 표정이 된다. 얼굴을 잔뜩 일그러뜨린
뒤
행복한 상황을 상상해봐라. 잘 안될 것이다.표정은 정보에 대한 반응속도에도 영향을 미친다. 주어진 문장이 긍정적인 메시지를 담고 있는지 부정적인 메시지를 담고 있는지 판단하는 실험에서 볼펜을 ... ...
추억의 히트곡 '연' 만든 생명과학자 조진원
과학동아
l
2008년 02호
라이너스지 내가 아니었다. 간단히 안부만 전하고 나오려다가 라이너스가 연을 부를 때
뒤
에서 코러스를 돕기로 했다.그런데 노래가 끝나자 보컬 최광수 씨가 갑자기 나를 무대로 불러 소개했고, 라이너스와 나는 내가 만든 곡인 ‘우리들의 축제’를 함께 불렀다. 연습이나 예고 없이 이뤄진 ... ...
생체분자 인지 기능 단백질 구조로 밝힌다
과학동아
l
2008년 02호
선정되는 등 과학계의 주목을 받고 있다. 1994년 포스텍 생명과학과 교수로 부임한
뒤
총 78편의 논문을 냈다. 이 가운데 임팩트팩터(IF) 10 이상인 저명한 저널에 낸 논문은 총 12편. 이 때문에 그의 논문을 인용한 횟수는 2007년 말 1600회를 넘어섰다.오늘도 생체분자의 모양을 밝혀 짝을 찾아주는 ... ...
내 몸으로 열려라 참깨! 바이오인식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02호
웃는 얼굴을 찾아 내는 방법도 의외로 간단해. 우선 얼굴 인식기능으로 얼굴을 찾아 낸
뒤
눈이라고 생각되는 부분을 중심으로 얼굴의 변화를 감지하는 거야. 일반적으로 사람이 웃으면 눈은 작아지고 입은 커지며 뺨이 올라가게 되지. 카메라가 인식한 얼굴에서 이런 변화가 감지되면 자동으로 ... ...
'좀비 바퀴벌레' 만드는 방법
과학동아
l
2008년 01호
그 물질을 찾기 위해 신경전달물질과 똑같은 기능을 하는 화학물질을 몇 종류 만든
뒤
, 말벌의 침을 맞고 좀비가 된 바퀴벌레에 차례대로 주입하는 실험을 했다. 그 결과 옥토파민이라는 신경전달물질을 주입했을 때 좀비 상태이던 바퀴벌레가 정상으로 돌아온다는 걸 알아냈다. 즉 이 말벌이 침을 ... ...
북극 종자은행, 냉각 시작
과학동아
l
2008년 01호
공전궤도면에 수직인 축에 대해 235˚ 기울어져 있는 지구의 자전축이 팽이처럼
뒤
뚱거리며 움직이는 현상정자가 이동하는 관은 막혀있지 않지만, 유전적 문제 때문에 정원줄기세포로부터 정자를 생산하지 못하는 남성 불임환자스스로 자석이 되는 물질 강자성체 안에 있는 전자들의 스핀이 모두 한 ... ...
PART 1 태안의 기억을 채집하다
과학동아
l
2008년 01호
연구하기 위한 목적이 아니었다. 굳은 사명감이 없었다면 어촌계의 전화번호를
뒤
져 피해지역을 찾아다니고 가능한 많은 양의 시료를 확보하기 위해 태안반도를 샅샅이 누빌 수 없었을 것이다. 지난 여수 사고 현장에서는 초기시료를 확보하지 못해 생물체에 남아있는 유류 독성물질을 연구하는 데 ... ...
아파트 숲에서 달을 쫓다
과학동아
l
2008년 01호
쉽기 때문이다.따라서 촬영모드를 완전수동모드(M)나 노출시간 우선모드(S)으로 바꾼
뒤
노출시간을 1초 이내로 짧게 조절한다.이때 달이 어떤 모양인지 고려해 노출시간을 세밀하게 조정하면 달의 지형을 더욱 생생하게 찍을 수 있다. 달은 모양에 따라 밝기 차이가 매우 크다. 반달일 때는 밝기가 -9. ... ...
tRNA 결정에서 풀어낸 입체 구조
과학동아
l
2008년 01호
못한 미개척분야에 뛰어드는 걸 즐길 뿐입니다.”김 교수가 단백질 연구로 눈을 돌린
뒤
RNA 구조연구자들은 리보솜의 구조를 밝히는 대형 프로젝트에 눈을 돌렸다. 거대한 rRNA 두 분자와 수십개의 리보솜 단백질로 이뤄진 분자복합체인 리보솜은 전자현미경으로도 보인다. 2005년 연구자들은 리보솜 ... ...
이전
879
880
881
882
883
884
885
886
88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