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끝
나중
다음
배후
뒤쪽
후방
꽁무니
d라이브러리
"
뒤
"(으)로 총 12,833건 검색되었습니다.
예비 과학도를 위한 글쓰기 매뉴얼
과학동아
l
2008년 01호
무장한 자신의 글에 흡족해할 날이 곧 올 것이다.강호정 서울대 미생물학과를 졸업한
뒤
영국 웨일스대에서 습지생태학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연세대 사회환경시스템공학부 교수로 재직 중이다. 과학자에게 연구능력 못지않게 글쓰기 능력이 중요하다는 신념으로 ‘과학작문 특강’ ... ...
유럽의 콜럼버스, 우주로 간다
과학동아
l
2008년 01호
진흙 퇴적물이 건조해 수축할 때 그 표면에 생기는 다각형의 균열 진흙이 물속에 쌓인
뒤
물이 마르면서 생기는데, 석호·호소 주변이나 하구 등에서 흔히 볼 수 있다고대부터 동양에서는 자미원, 태미원, 천시원을 합쳐 3원이라 하고 지상의 모습이 하늘에 투영된 중요한 지역으로 생각했다 ... ...
주방이 '실험실'인 분자요리
과학동아
l
2008년 01호
셔벗을 만들어준다. 사탕수수를 증류한 브라질 민속주인 카챠카에 라임과 설탕을 섞은
뒤
액체질소를 붓고 거품기로 잘 저어주면 칵테일 셔벗 ‘질소-카이피리냐’(nitro-caipirinha)가 완성된다.액체질소는 코팅을 하는데도 자주 쓰인다. 딸기 무스에 크림을 묻혀 액체질소에 담그면 코팅된 크림이 ... ...
PART 2 유출 원유 3분의1 회수한 태안의 기적
과학동아
l
2008년 01호
불구하고 회수된 양은 14%에 그쳤다. 미국해양대기국(NOAA)이 사고가 일어난 지 3년
뒤
인 1992년에 벌인 현장조사 결과에 따르면 유출된 기름의 13%가 해저로 가라앉았고 2%는 여전히 해안에 남아있었다. 다행히 70%가 생분해되거나 광분해 돼 사라졌지만 1% 정도는 여전히 바닷물에 퍼져 있는 것으로 ... ...
PART 1 한국 최초 우주인 탄생 D-99 체크리스트
과학동아
l
2008년 01호
지구로 돌아오기 전 고층대기의 풍속이나 이온층의 밀도에 대한 정보를 입력한
뒤
완전 자동상태로 대기권에 돌입한다”며 “기계적인 고장이 라기보다는 대기 상태에 대한 정확한 데이터를 입력하지 못해서 생긴 문제일 것”이라고 말했다.러시아의 50년 우주개발 역사 동안 큰 사고는 없었지만 ... ...
특집03 뚝딱뚝딱 '프랑켄슈타인 세포' 만들기
과학동아
l
2008년 01호
성질을 연구한 결과 실제 세포막과 매우 비슷한 성질을 갖고 있다는 사실을 발견한
뒤
인공적으로 만든 리포솜 안에서 다양한 생명현상을 재현하려는 시도를 하고 있다.1995년 스위스 폴리머 연구소의 피어 루이지 박사팀은 세계 최초로 리포솜 안에서 DNA를 합성하는데 성공하며 인공 세포막의 ... ...
매운 고추 먹고 땀 흘리는 이유?
과학동아
l
2008년 01호
고추로 인한 통증을 완화하기 위해 진통제인 엔돌핀을 만든다. 그 결과 통증이 클수록
뒤
에 느끼는 쾌감도 증가한다. 한편 캅사이신을 많이 접하면 TRPV1 채널이 지속적으로 열리면서 세포 안에 칼슘 이온이 지나치게 많이 들어와 결국 세포가 죽는다. 즉 입안의 TRPV1 분포 밀도가 떨어지는 셈이다. 그 ... ...
과학동아 1월호 특별선물 액정온도계
과학동아
l
2008년 01호
통과시킨다. 계산기나 전자시계의 액정화면은 편광유리 2장 사이에 네마틱 액정을 채운
뒤
이 사이의 전기장을 조절해 글자를 표시한다.분자들이 평행한 방향으로 누운 채 층을 이루고 있는 콜레스테릭 액정도 있다. 이 액정은 온도에 따라 액정 분자층의 간격이 민감하게 달라진다. 이때 빛이 ... ...
초미세 생체현상 속에 답이 있다
과학동아
l
2008년 01호
만드는 일은 순식간이다. 따라서 하나의 아이디어가 떠오르면 일단 실험으로 재현해 본
뒤
특허등록 과정을 거친다. 그 다음에 국제학회에 보고하거나 논문으로 발표한다. 당연히 연구단 안에서도 ‘입단속’이 심하다.지금까지 디지털나노구동연구단이 출원한 특허 수는 국내 23건, 해외 12건에 ... ...
타자는 젖은 야구공을 싫어할까
과학동아
l
2008년 01호
이 속설을 확인하기 위해 야구공 15개를 습도가 각각 32%, 56%, 74%인 방에 2주 동안 보관한
뒤
공의 무게와 지름을 측정했다. 그리고 이 데이터를 이용해 컴퓨터로 공이 날아가는 높이와 거리를 계산했다. 그 결과 습기가 많은 공일수록 멀리 날아가지 못했다. 하지만 그 차이는 최대 60cm에 불과했다. ... ...
이전
881
882
883
884
885
886
887
888
88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