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풍미
향미
미각
향기
정취
경험
d라이브러리
"
맛
"(으)로 총 1,576건 검색되었습니다.
아시아 최초 슬로시티 태평염전에 가다!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내용은 생활과 밀접한 연관이 있는 소금의 다양한 쓰임새. 소금박물관에는 음식의
맛
을 내는 식품으로서의 소금뿐만 아니라 무기나 건축, 의복 같이 생활 전반에서 중요하게 쓰이는 소금이 전시돼 있다. 조선시대 로켓 화살포였던 신기전의 폭약을 제조하는 데 소금이 쓰였다는 점과, 옷감에 염색을 ... ...
마시면 살 빠질까? 차 음료의 진실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향한다(降). 매운
맛
을 가진 약재는 몸의 윗부분이나 몸 밖으로 향하며(浮) 쓴
맛
이나 짠
맛
을 지닌 약재는 몸 내부로 향한다(沈).예를 들어 뚱뚱하고 피부의 지방조직이 치밀한 사람이라면 땀구멍을 열어 열과 땀을 배출 하도록 도와주면 살을 뺄 수 있다. 맹 원장은“열(熱)을 몸의 표면으로 끌어올린 ... ...
조선시대 해양생태 보고서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자산어보의 내용은 생물들 사이의 친연성이나 차이보다는 개별생물의 습성이나
맛
, 용도에 주목하고 있다. 즉, 자산어보는 어민과 함께 하면서 그들의 삶을 개선시키고자 했던 정약전의 실학정신이 구체화된 저술이다. 비록 자산어보의 분류 체계가 객관적이지 못하고 초보적일지라도 그 ... ...
은빛 비늘에 뒤덮인 두툼한 속살 갈치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냉장기술이 지금처럼 발달하지 못했던 시대에 크나큰 이점으로 작용했을 것이다. 값싸고
맛
있는 데다 잘 상하지 않고, 쉽게 구할 수 있기까지 하니 갈치는 인기 생선의 운명을 타고난 것이다.그러나 이제 시대가 변했다. 배추 값이 올라 김치가 금치가 됐다더니 이젠 어획량이 줄어들어 급기야 ... ...
소수점 하나가 세상을 바꾼다!
수학동아
l
2009년 10호
고단백인 걸 보니 여러분의 수학 기초가 튼튼해질 것 같은 예감이 듭니다. 소수의 참
맛
을 기대하며 통조림 뚜껑을 따 봅시다~!새로운 수, 태어나다! 콜럼버스가 아메리카 대륙을 발견한 1492년. 이탈리아 수학자 펠로스는 '산술적요'라는 책에서 처음으로 콤마를 소수점으로 사용했다. 이 소수점은 ... ...
면발의 힘 글루텐
과학동아
l
2009년 09호
● 세계 곡물 경작지의 30%가 밀밭일 정도로 밀은 곡물 중 가장 넓은 면적을 차지한다. 연간수확량도 2007년 현재 6억 700만t으로 옥수수(6억 9500만t)와 쌀(6억 3400만t)에 이어 근소한 차이 ... 한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Part1. 면발
맛
대결 기계 vs 손 면발의 힘 글루텐
맛
있는 세계 면류 ... ...
“사슴벌레 기르는 SW로 아프리카 굶주림 해결”
과학동아
l
2009년 09호
파는 비스킷과 비슷한
맛
이 납니다. 단순히 영양을 섭취하기 위한 음식이 아니라
맛
도 있다는 거죠.” 사육 장비 설계와 제작을 주로 맡은 김기범 씨는 식량으로서 사슴벌레의 가치가 충분하다고 지적했다.그런데 사슴벌레에는 중요한 문제점이 있었다. 폐쇄된 공간에서 사육을 하면 폐사율이 ... ...
맛
있는 세계 면류 총집합
과학동아
l
2009년 09호
중국과 일본의 대표 면발 나와라!바늘귀 통과하는 자장면● 중국에서는 일찍부터 수타면을 만드는 법이 발달했다. 양손으로 밀가루 반죽의 양 끝을 잡고 길게 늘이다가 한 손 ... 탄생하게 됐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Part1. 면발
맛
대결 기계 vs 손면발의 힘 글루텐
맛
있는 세계 면류 ... ...
한국 과학, 아프리카에 희망을 심다
과학동아
l
2009년 09호
양고기를 많이 먹었다. 그러나 최근 젊은이들이 돼지고기나 닭고기를 선호하면서 새로운
맛
에 대한 수요가 늘고 있다. 닭을 기르는 농가가 늘 거라는 추측이 가능한 대목이다.ILRI에서 근무하는 이탈리아 투시아대 박사과정 셰일라 세실리 옴메 연구원은 아프리카의 재래종 닭이 유전적으로 매우 ... ...
깨처럼 고소한 물고기
과학동아
l
2009년 09호
커다란 전어로 구이를 해 먹고, 지나친 기름기가 부담스럽다면 작은 가을 전어나 고소한
맛
은 덜하더라도 뼈가 연하고 적당한 기름기를 가진 여름 전어를 고르는 것이 좋을 듯하다 ... ...
이전
87
88
89
90
91
92
93
94
9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