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곡물
쌀
곡식류
나락
쌀알
미곡
낟알
d라이브러리
"
곡식
"(으)로 총 178건 검색되었습니다.
꿩
과학동아
l
1991년 03호
땅을 파헤쳐 땅벌레를 찾아 먹기를 좋아한다. 식물의 뿌리도 캐 먹는다. 그들은 풀씨나
곡식
을 주로 먹지만 때로는 연체동물 파충류 등을 잡아먹기도 한다.꿩은 몸에 비해 빈약한 날개를 갖고 있으므로 멀리 날지 못하고 '푸드득'거리며 난다. 창공을 날다가 마치 항공기가 미사일을 맞고 떨어지듯 ... ...
줄어드는 삼각주
과학동아
l
1991년 02호
심할 때에 야곱의 아들들은
곡식
을 사러 이집트로 가야 했다고 한다. 이집트는 언제나
곡식
이 풍성하였다.물론 그 기름진 땅은 나일강 양편으로 2마일정도에 불과하다. 나일강의 하구로 가면 강이 점차 넓어지며 물줄기가 삼각형으로 벌어져서 기름진 삼각주를 형성한다. (나일델타라고 불리는 ... ...
풀어쓰는 컴퓨터역사① 셈의 기원
과학동아
l
1991년 02호
있었다. 그 지역에서 발굴된 점토판위에 곰보자국으로 쓰여진 설형문자는 연리 20%일때
곡식
을 두배로 늘리려면 몇년과 몇달이 걸리는가를 분명히 말해주고 있다고 한다. 놀라운 일이 아닐 수 없다.캘큘러스(calculus)라는 과목이 대학교양과정에 있다. 고등학교시절 수학 I, II 등에 시달려온 ... ...
피라미·지렁이·이끼가 사라지고 있다
과학동아
l
1991년 01호
죽어가면 거기에서 자라나는 풀을 먹는 소나 양, 그리고 그런 땅에서 나오는 채소와
곡식
을 섭취하는 가축과 사람도 2차 오염에 허덕이게 된다.토양오염의 지표가 되는 생물의 생태와 오염도를 연구하는 팀이 국내에도 여럿 있다. 이들은 1㎡의 땅을 30㎝ 깊이로 팠을때 잡히는 곤충의 종류와 수 ... ...
PART1 대덕연구단지 92년 완성 앞둔 과학문화도시
과학동아
l
1990년 10호
소형컴퓨터도 이 연구소에서 나왔다.화학연구소 백행남박사팀은 82년 5월부터 1년간
곡식
을 오랫동안 저장해도 해충이 생기지 않는 인화알루미늄을 개발하는 성과를 올렸다.페니실린보다 효과가 1백배이상 나은 퀴놀론계 항생제(화학연구소)와 순도 99.999%의 텅스턴(동력자원연구소)도 연구단지의 ... ...
불개미떼 극성에 몸살 앓는 미국
과학동아
l
1990년 09호
올해 들어 서부의 캘리포니아 곡창지대까지 공략하고 있다.이들은 다른 곤충이나
곡식
은 말할 것도 없고 고속도로 교각 이음새의 고무까지 닥치는대로 먹어치우는 잡식성의 먹보다. 한해에 텍사스주 한 곳에서만도 이들로 인한 농작물피해액이 4천7백만 달러에 이른다. 게다가 이 불개미들은 ... ...
중금속 오염 인체에 어떤 영향을 미치나
과학동아
l
1990년 03호
높아져야 할 것이다. 무심코 버리는 산업폐기물이나 쓰레기 등이 우리의 토양, 물 그리고
곡식
을 오염시켜 다시 인체에 침입되는 악순환을 막고 각종 산업장의 작업환경을 개선해 근로자들의 건강을 지켜주는 노력이 필요한 때다 ... ...
PART2. 의료에서 정보처리까지
과학동아
l
1989년 11호
빛에 가장 크게 의존하는 산업은 농업일 것이다. 태양광이든 인공광이든 빛이 없으면
곡식
농사도, 야채나 과일도, 그리고 원예작물도 재배할 수 없다.멀지 않은 과거에 봉홧불이 통신수단으로 사용되었으며 오늘날에는 광통신을 비롯하여 TV 비디오 영화 슬라이드 등의 최신 정보매체에서 빛이 ... ...
체질에 맞는 음식을…
과학동아
l
1989년 09호
약용으로도 사용할수 있다. 채소류는 무우 연근 도라지 고사리 마 토란 등이 적합하고
곡식
으로는 밀 콩 율무 등이 이로운 음식으로 알려져 있다.■소음인이 체질의 분포는 약 20%라고 이제마 선생이 주장하였으나 학자에 따라서는 한국인에 가장 많은 체질로 주장하기도 한다.외형상으로는 상하의 ... ...
몸무게 2배의 3배체 동물 슈퍼닭 탄생되다
과학동아
l
1989년 09호
인류의 풍족한 식생활을 유지하기 어렵게 된다.따라서 주어진 면적의 땅에서 더 많은
곡식
을 생산하고 한마리의 가축에서 더 많은 고기를 생산할 수 있는 기술개발이 필요하게 되나 종래의 기술로는 목적달성이 어렵다. 과학자들은 생물의 유전물질을 변화시켜 생산량이 많은 새로운 종류의 동식물 ... ...
이전
12
13
14
15
16
17
1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