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음식"(으)로 총 1,916건 검색되었습니다.
- 비만? 설탕 잘못만은 아니야과학동아 l201512
- 2544kcal로 500kcal가 늘어 비만 인구 증가의 원인으로 꼽혔다. 하지만 곡물과 지방을 포함한 음식물 섭취량이 크게 늘었고, 설탕 섭취에 의한 열량은 거의 늘지 않았다는 사실을 알아냈다.연구팀은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에서 발표한 2007~2008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에서도 유사한 결과를 얻었다. 자료 ... ...
- [Life & Tech] MSG, 결코 해롭지 않아요과학동아 l201512
- 심지어 MSG가 들어 있다는 걸 모르고 먹으면 증상이 많이 사라집니다. 백 교수는 “음식이 아니라 심리의 문제”라고 설명합니다.MSG가 특히 뇌를 공격해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ADHD)를 일으킬 수 있다는 주장도 있습니다. 그러나 전문가들은 뇌는 보호장벽으로 둘러싸여 있기 때문에 식품으로 먹은 ... ...
- 응답하라~! 남극 세종과학기지어린이과학동아 l201512
- 25℃까지 떨어지기도 했답니다.이도연 : 주로 어떤 음식을 드시나요?보통 우리나라에서 음식을 공급받아 냉동실에 보관해 두었다 먹죠. 또 주변에 식물 공장이 있어서 채소를 직접 키워 먹을 수도 있답니다. 형광등과 LED 아래에서 상추나 깻잎, 고추 등을 키우고 있거든요.이원재 : 저는 남극에 가게 ... ...
- [인류, 지구를 먹어치우다 냉장고로 부족해?] Part 1. 전세계는 얼마나 먹나과학동아 l201511
- ‘메가이터(Mega Eater)’라 할 만하다. 인간의 먹이 활동을 뒷받침하는 기술이 발달하면서 음식 소비가 증가하는 속도는 일찍이 인구가 증가하는 속도를 넘어섰고, 인간의 먹이 대상이 된 동식물들은 초고속 진화를 경험하는 중이다. 정작 인간의 몸은, 메가이터가 될 준비가 전혀 돼 있지 않다.[ mega ... ...
- [좋은 맛 똑똑한 맛 ➐ 식품첨가물] 첨가물, 안심하고 먹어도 되나요?과학동아 l201511
- 위험하지 않다는 뜻이다. 식품의약품안전처는 해당 첨가물이 들어 있는 여러 종류의 음식을 극단적으로 많이 먹어도 안전하도록 기준을 정한다. MSG처럼 아예 이 값이 없는 첨가물도 있다. 그만큼 안전하다는 뜻이다.“예전에는 과자 속에 A라는 첨가물이 들어 있는데, 그 첨가물이 유해하다는 뉴스가 ... ...
- 알고 나면 깜짝 놀랄걸? 아주 사소한 과학어린이과학동아 l201511
- 사람들을 만나러 출발~! 엥~.뜨거운 라면 먹을 때도 김서림 걱정 없는 안경뜨거운 음식을 먹을 때, 찜질방에 들어갈 때 등 안경을 쓴 사람이라면 시야가 뿌옇게 된 경험을 했을 거예요. 김이 서리기 때문이지요. 김은 수증기가 낮은 온도의 공기와 만나면서 아주 작은 물방울로 변한 것을 말해요. 즉, ... ...
- [Photo] 지구에서 체험하는 화성 라이프!과학동아 l201511
- 마크 와트니(맷 데이먼 분)처럼 식물을 키우고 있다.2 오붓한 밥상모임2층에는 음식을 먹고 회의를 할 수 있는 공간이 있다. 모든 대원들이 둘러앉아 마주볼 수 있는 유일한 공간이다. 화성의 영구동토층엔 뭐가 있을까캐나다 북극제도의 데본섬에도 화성학회가 세운 기지가 있다. 2000년 문을 연 ... ...
- Part 3. 몸은 메가이터가 될 준비가 돼 있지 않다과학동아 l201511
- 전 인류는 과식하는 식습관때문에 비만이나 성인병 같은 여러 가지 문제를 겪고 있다. 음식은 다다익선이 아니다. 몸에 꼭 필요한 필수 영양소도 과다하면 문제가 된다.예컨대, 고기를 많이 먹으면 몸에 필요한 아미노산을 초과하는 분량은 모두 분해되는데, 이 과정에서 생성된 암모니아는 요소로 ... ...
- 닥터 그랜마와 함께하는 한자 과학풀이어린이과학동아 l201511
- 몸 체, 기름 지, 살찔 방)체지방은 한자 그대로 몸속에 있는 기름(지방)의 양을 말한다. 음식을 먹으면 소화 과정을 거쳐 장에서 영양소를 흡수한다. 필요한 부분에 쓰이고 남은 영양소는 몸 안에 지방의 형태로 쌓이는데, 이것이 바로 체지방이다. 체지방은 필요할 때 분해 돼 다시 에너지로 쓰이는데 ... ...
- [PART 1] 화석이 알려주는 인류의 진화수학동아 l201511
- 오스트랄로피테쿠스는 주로 채식을 해 어금니가 컸지만, 고기를 사냥하고 불을 사용해 음식을 익힐 수 있었던 호모 속은 치아가 작았다.결국 연구팀은 이 화석인류가 호모 속에 속한다고 결론짓고, 세소토어로 별을 뜻하는 단어(날레디)를 붙여 ‘호모 날레디’라는 이름을 붙였다. 한편, ... ...
이전14151617181920212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