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식량
식품
양식
음식물
요리
먹거리
영양물
d라이브러리
"
음식
"(으)로 총 2,581건 검색되었습니다.
턱도 디스크에 걸린다
과학동아
l
2000년 02호
불량한 수면자세, 손톱이나 연필 등을 깨무는 버릇, 식사할 때 좌우 어느 한쪽으로만
음식
을 씹는 일 등도 고쳐야 할 습관에 해당됩니다.L: 저는 처음에는 소리만 났었는데 그 다음부터는 가끔 통증이 느껴집니다. 소리만 났을 때 턱이 제위치를 찾지 못했기 때문이라고 생각해서 껌을 많이 ... ...
병이 병을 부르는 합병증
과학동아
l
2000년 02호
일어나는 때다. 이 상황에서 입덧을 함으로써 해로운 성분이 포함돼 있을지 모르는
음식
이 몸에 들어갈 기회를 원격적으로 차단시키는 것이다. 다윈의학에 관한 자세한 내용은 R.네스·G.윌리엄즈 저, 최재천 역, ‘인간은 왜 병에 걸리는가-다윈의학의 새로운 세계’(사이언스 북스, 1999)에 소개돼 ... ...
용, 아홉가지 동물의 키메라
과학동아
l
2000년 01호
예로부터 범죄인을 가두는 옥문(獄門)에 장식으로 세워놓았다. 다섯째는 도철이다.
음식
을 먹고 마시기를 좋아해서 솥뚜껑에 장식했다. 여섯째는 기혈이다. 이 녀석은 물을 좋아해서 다리 기둥에 새겨놓았다. 오래된 돌다리의 기둥에 새겨진 거북이 모양의 동물은 실은 물을 좋아하는 용의 새끼인 ... ...
재미있는 공룡족보
과학동아
l
2000년 01호
뺨이 없는 거북이나 악어와 같은 원시적인 파충류는 먹이를 먹을 때 반쯤 흘린다. 뺨은
음식
을 씹을 때 입 밖으로 흘러나가는 것을 방지하고 본격적으로 씹는 작용을 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 그래서 이 그룹의 공룡들은 다양한 이빨들을 발달시킬 수 있었으며, 자신을 방어하기 위해 여러 가지 ... ...
식중독 단백질로 다이어트
과학동아
l
2000년 01호
생쥐의
음식
섭취량이 현저하게 줄어드는 것을 확인했다. 이는 근육의 약화로 위에
음식
물이 오래 남아있기 때문일 것이다. 결과적으로 생쥐의 체중은 3주 후 별다른 부작용 없이 14%가 감소했다. 그러나 70일이 지난 후에는 다시 식욕을 회복해 체중이 정상으로 돌아왔다. 이는 독소단백질의 활성이 ... ...
완벽한 대칭미 갖춘 '최후의 만찬'
과학동아
l
2000년 01호
깊숙한 공간감을 부여하고 있으며 앞으로 돌출한 식탁 위에 놓여진 각종 그릇이나
음식
물조차 마치 우리 눈앞에 펼쳐진 현실을 보는 것과 같은 실재감을 불러일으키고 있다. 그러나 최후의 만찬자리에서 예수가 자신의 죽음을 예견한 충격적인 말에 놀란 제자들의 소란과 동요가 그룹을 형성하고 ... ...
침팬치는 진화해도 인간이 될 수 없다
과학동아
l
1999년 12호
새끼들과 같이 사는 암놈들이 모여 있는 영역을 어슬렁거릴 때는 교미할 상대를 찾거나
음식
을 구하기 위해서다. 수놈들은 서로 소리를 통해서, 또는 냄새로써 자기의 영역을 지킨다.영장류 중에서 몸집이 가장 큰 고릴라는 1800년대 중반까지 유럽사람들은 그 존재를 알지 못했다. 아프리카 콩고의 ... ...
냄새나는 건강지표 똥
과학동아
l
1999년 12호
느끼기 때문에 변비가 습관화된다.그렇다면 변비는 왜 생기는 것일까. 대변의 재료는
음식
이다. 입으로 들어가는 재료가 많아야 최종 생산물도 많아져서 수월하게 나온다. 그래서 밥을 굶는 사람은 변비에 걸리기 쉽다. 최근 젊은 여성들이 다이어트를 하면서 변비가 생기는 것을 자주 볼 수 있는데 ... ...
애완용 바다새우 '시몽키' 기르기 게임
과학동아
l
1999년 11호
때는 암컷이 단독으로 자손을 만들기도 한다(무성생식). 또 1-50㎛(1㎛ = ${10}^{-6}$m) 크기의
음식
이면 동물성이든 식물성이든 가리지 않고 잘 먹어치운다. 이런 강한 생존력 때문에 잘만 관리하면 몇년이라도 계속 기르며 관찰할 수 있다.원래 바다새우는 남극과 북극을 제외한 전세계 해수에서 ... ...
2. 대머리 치료하고 몸매를 날씬하게
과학동아
l
1999년 11호
동시에 적절한 양만 먹도록 만드는 약물이 개발되고 있어 관심을 모으고 있다.아예
음식
에서 살이 찌는 원인을 제거하자는 발상도 있다. 미국의 프록터앤드갬블사는 지방과 똑같이 고소한 맛을 내면서도 소화계에서는 그대로 통과돼 몸 밖으로 배설되는 올레스타라는 물질을 만들었다. 이 물질을 ... ...
이전
199
200
201
202
203
204
205
206
20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