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뒤"(으)로 총 12,833건 검색되었습니다.
- 돌멩이 하나에 30억 원? 운석 재테크 해볼까과학동아 l2020년 08호
- 지명을 따 이름을 짓는다. 태양계 나이, 아옌데 운석으로 확인진주 운석이 발견된 뒤 최변각 서울대 지구과학교육과 교수팀이 운석을 분석했다. 우라늄-납 동위원소의 반감기를 이용한 연대측정법으로 운석의 나이를 측정하자 45억9700만~44억8500만 년 전에 생긴 물질이라는 결과가 나왔다. 이후 ... ...
- [과학동아 X 긱블] 케첩으로 주스 만드는 마법의 기계과학동아 l2020년 08호
- 물을 섞어 줄 믹서 등 이번 작품에 요구되는 특수한 모양의 부품들은 설계도를 만든 뒤 주문 제작을 의뢰했습니다.이제 이들 부품을 담을 거대한 틀을 설계할 차례입니다. 틀은 저렴하고, 레이저 절단기로 쉽게 자를 수 있으며, 가볍기까지 한, 메이커의 필수 도구, 중밀도 섬유판(MDF)을 이용할 ... ...
- [과동키즈] 내가 남극으로 향한 이유과학동아 l2020년 08호
-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있는 훌륭한 조력자가 돼주길 바란다. 오늘의 독자들이 수년 뒤 다시 ‘과학동아 키즈’였음을 자랑스럽게 말하며 그들의 독특한 경험을 나누는 날을 기대해 본다 ... ...
- [나의 독일유학일기] 시험 기간이 방학 중에? 방학 같지 않은 방학과학동아 l2020년 08호
- 쓰는 그들이 그저 부러울 따름이다.결과적으로 공대생들에게 진짜 방학은 시험까지 끝난 뒤의 1~2주 정도뿐이다. 다시 말하면, 조금 억울해도 방학 때 쉴 시간이 아예 없는 건 아니란 뜻이다. 물론 시험을 철저히 계획대로 준비하면, 시험 기간 전이든 후든 쉴 수 있다. 나는 어떻게든 시간을 내서 ... ...
- [과학도서리뷰대회 수상자]책 리뷰의 달인을 찾았습니다과학동아 l2020년 08호
- 소화할 능력이 있다고 가정했는데요. 다당류인 셀룰로오스가 분해돼 포도당으로 변한 뒤 1g당 4kcal의 에너지를 낸다고 할 때 ‘더 위험한 과학책’은 무게가 약 900g인 만큼 총 3600kcal의 열량을 가진 식량이 됩니다. 밥 한 공기(300kcal)를 기준으로 하루에 세 끼씩 4일간 이 책을 나눠 먹으면 모두 소화할 ... ...
- [통합과학 교과서] 정전기를 피하라!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7호
- 가느다란 실이 무작위로 교차된 형태예요. 플라스틱과 같은 고분자 수지를 수 μm로 뽑은 뒤, 이를 무작위로 짜 납작한 형태로 만들지요. 보통 섬유는 씨실과 날실이 수직으로 교차되는 과정을 거치는데, 정전기 필터처럼 그런 과정이 없는 것을 ‘부직포’라고 부르기도 한답니다.그런데 이 과정으로 ... ...
- [수학뉴스] ‘골든 타임’ 중요한 해난 구조 수학이 돕는다수학동아 l2020년 07호
- 빠진 사람은 파도에 휩쓸려 계속 이동하기 때문에 사고가 발생한 뒤 6시간이 지나면 생존자를 찾을 확률이 급격히 낮아집니다. 빠르고 효과적인 실종자 수색을 위해 수학적인 분석을 활용하는데요, 최근 생존자의 위치를 더 정확하게 예측할 수 있는 연구 결과가 나왔습니다.기존의 수색 구조 모형은 ... ...
- [퍼즐라이프] 꼭꼭 접어라, 전개도가 보일라!수학동아 l2020년 07호
- 있다. 이 종이의 한쪽은 채색면이고 한쪽은 흰색 면이다. 정사각형의 변 중 일부를 자른 뒤 나머지 변을 따라 접어서 모든 면이 채색면인 정육면체를 만들 수 있을까?” 이 문제는 미국의 유명한 퍼즐 대가인 마틴 가드너가 저서 ‘새로운 수학적 놀이들’에 소개한 전개도 퍼즐입니다. 종이를 잘라 ... ...
- 2014년 에볼라바이러스┃피 토하며 죽게 만드는 치명적 바이러스과학동아 l2020년 07호
- 증상을 보인 44세 남성 환자였다. 말라리아에 걸렸다고 생각해 입원했던 이 환자는 며칠 뒤 코와 잇몸 등 온몸에서 피를 쏟아내며 사망했다. 이후 이 환자와 접촉했던 사람들이 연이어 사망했다. 환자가 찾아갔던 병원의 간호사들, 가족, 그리고 그의 시체를 만진 사람들이 잇달아 비슷한 증상을 ... ...
- 바이러스는 얼마나 다양할까과학동아 l2020년 07호
- NGS 기술은 DNA나 RNA 같은 유전물질을 무작위로 잘라 무수히 많은 짧은 조각들로 만든 뒤, 각 조각의 염기서열을 동시에 해독하는 방법이다. 관심 있는 유전자 부분이 빠져 있거나 위치가 바뀌는 오류가 나타나기도 하지만 짧은 시간에 많은 양의 유전체를 해독할 수 있다는 더 큰 장점이 있다. 이를 ... ...
이전20120220320420520620720820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