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뒤"(으)로 총 12,833건 검색되었습니다.
- 성층권에 드론 날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7호
- EAV-3가 날 수 있는 하늘 공간의 가장 앞에서 비행하기 시작하면, 제트기류의 강한 바람에 뒤로 밀리더라도 결국 성층권까지 오를 수 있겠죠. 용어정리* 제트기류 : 고도 10km 부근에서 바람이 서쪽에서 동쪽으로 강하게 부는 현상 ... ...
- [특집] 수학으로 따지기1. 외계인은 진짜 있을까?수학동아 l2020년 07호
- SETI) 회의에서 이 방정식을 발표하고 회의에 참석한 과학자들과 각 변숫값에 대해 논의한 뒤 통신 가능한 외계 문명의 수가 최소 20개는 된다고 주장했죠. 사실 이 방정식은 방정식의 해보다 외계인의 존재 여부를 알려면 앞으로 어떤 요소를 연구해야 하는지 제시하는 데 큰 의미가 있어요. 현재 ... ...
- [진로체험] 건설 현장의 문제도 수학으로 푼다! 인공지능 엔지니어수학동아 l2020년 07호
- 문제와 수리 방법, 그리고 수리 결과에 대한 정보도 디지털 데이터로 만들죠. 그런 뒤에 문제에 적합한 수학 모형을 만들고, 딥러닝을 이용해 학습시켜 결과를 예측하죠. 문제를 일으키는 원인을 잘 설명하는 요소를 찾아낼 때까지 데이터를 다양한 방법으로 조합해 분석하고 있어요. 분석 ... ...
- [오일러프로젝트] 코딩 지니, 1부터 1000까지 영어로 썼을 때 사용한 글자수는?수학동아 l2020년 07호
- 자릿수, 나머지가 일의 자릿수가 되며, 십의 자릿수에 대응하는 영어 이름을 읽고 그 뒤에 일의 자릿수의 이름을 붙이면 됩니다. 2. 서너 자릿수를 읽는 함수백의 자릿수를 읽는 방법도 십의 자릿수와 비슷하게 100으로 나눈 몫에 hundred를 붙여 읽습니다. 그리고 나머지는 일, 십의 자릿수를 ... ...
- 2002년 사스코로나바이러스┃ 만만했던 코로나바이러스 위력 처음 실감과학동아 l2020년 07호
- 단백질이 열쇠라면 숙주세포의 ACE2가 자물쇠 역할을 해 스파이크 단백질이 ACE2를 연 뒤 서로 단단하게 결합하면서 숙주세포 내부로 코로나바이러스를 통과시킨다. 코로나바이러스 외피에 있는 스파이크 단백질이 숙주세포 침입에는 핵심 도구인 셈이다. ACE2는 안지오텐신 전환효소(ACE· angiotensin ... ...
- 2014년 에볼라바이러스┃피 토하며 죽게 만드는 치명적 바이러스과학동아 l2020년 07호
- 증상을 보인 44세 남성 환자였다. 말라리아에 걸렸다고 생각해 입원했던 이 환자는 며칠 뒤 코와 잇몸 등 온몸에서 피를 쏟아내며 사망했다. 이후 이 환자와 접촉했던 사람들이 연이어 사망했다. 환자가 찾아갔던 병원의 간호사들, 가족, 그리고 그의 시체를 만진 사람들이 잇달아 비슷한 증상을 ... ...
- 바이러스는 얼마나 다양할까과학동아 l2020년 07호
- NGS 기술은 DNA나 RNA 같은 유전물질을 무작위로 잘라 무수히 많은 짧은 조각들로 만든 뒤, 각 조각의 염기서열을 동시에 해독하는 방법이다. 관심 있는 유전자 부분이 빠져 있거나 위치가 바뀌는 오류가 나타나기도 하지만 짧은 시간에 많은 양의 유전체를 해독할 수 있다는 더 큰 장점이 있다. 이를 ... ...
- STEP ⑤ 바이러스 전파과학동아 l2020년 07호
- 봤던 예상을 뒤집는 결과다.연구팀이 사스코로나바이러스-2를 특정 환경에 노출한 뒤 활성화된 바이러스의 양이 감지되지 않을 때까지 걸리는 시간을 측정했더니 플라스틱이나 스테인리스 표면에서는 2~3일이 걸렸고, 택배 상자 같은 종이 박스에서는 24시간이 걸렸다.바이러스가 살아있는 시간을 ... ...
- B림프구...항체 생산하는 면역의 종결자과학동아 l2020년 07호
- 항체를 만드는 세포는 태어난 직후 8~9주 동안은 간에서, 그 이후에는 골수에서 만들어진 뒤 성장한다는 사실이 확인됐다. 이 세포는 윤활주머니의 첫 글자를 따서 B림프구라는 이름을 갖게 됐다.B림프구는 성숙과정에서 유전자 재조합이 활발히 일어나고, 이를 통해 수많은 항원에 대응하는 다양한 ... ...
- 1954년 바이러스를 시험관에서 배양하다과학동아 l2020년 07호
- 최초의 연구이자, 폴리오바이러스가 신경 조직에서만 증식한다는 학계의 정설을 뒤집는 결과였다.세 과학자의 연구는 소아마비 백신 개발로 이어졌다. 또 다양한 표본 조직에서 바이러스를 배양하고 분리하는 기술은 바이러스 연구를 한 단계 발전시켰다. 엔더스와 웰러는 1954년 12월 노벨상 수상 ... ...
이전20520620720820921021121221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