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뒤"(으)로 총 12,833건 검색되었습니다.
- 코로나19 팩트체크┃누가 인간에게 옮겼나?과학동아 l2020년 07호
- 천산갑 코로나바이러스 사이에 유전물질 전환을 비롯해 다양한 진화를 겪은 뒤 만들어졌다. 사스코로나바이러스-2는 세포 수용체인 안지오텐신 전환효소2(ACE2)에 결합해 인체에 침투한다. 연구팀은 천산갑 코로나바이러스가 사람에게 직접 전파될 수는 없지만, 바이러스 표면에 있는 스파이크 ... ...
- 바이러스는 얼마나 다양할까과학동아 l2020년 07호
- NGS 기술은 DNA나 RNA 같은 유전물질을 무작위로 잘라 무수히 많은 짧은 조각들로 만든 뒤, 각 조각의 염기서열을 동시에 해독하는 방법이다. 관심 있는 유전자 부분이 빠져 있거나 위치가 바뀌는 오류가 나타나기도 하지만 짧은 시간에 많은 양의 유전체를 해독할 수 있다는 더 큰 장점이 있다. 이를 ... ...
- 자연살해세포...침입 즉시 공격, 진정한 킬러과학동아 l2020년 07호
- 중에서는 가장 크다.자연살해세포는 대식세포에서 분비되는 화학물질에 의해 활성화된 뒤 바이러스에 감염된 세포나 종양세포(암세포)를 인식한다. 이후 세포독성 T림프구처럼 퍼포린과 그랜자임 단백질을 차례로 분사해 세포막과 세포질을 해체하는 방식으로 감염된 세포나 종양세포가 ... ...
- 2008년 에이즈와 자궁경부암 바이러스를 발견하다과학동아 l2020년 07호
- 에이즈 바이러스의 최초 발견자로 보도하면서 상황은 일단락되는 듯했다. 그런데 9개월 뒤 갤로 연구팀이 발견한 HTLV-3의 유전체 염기서열이 몽타니에가 발견한 LAV와 거의 일치한다는 사실이 밝혀지면서 상황이 역전됐다. 해당 바이러스는 변이 속도가 굉장히 빠른 바이러스이기에 염기서열이 ... ...
- 2011년 선천 면역과 후천 면역의 시작을 알아내다과학동아 l2020년 07호
- 대해서는 예외적으로 수상을 철회하지 않기로 결정했다. 스타인먼은 췌장암 판정을 받은 뒤 자신이 발견한 수지상세포를 활용한 연구단계의 치료제 물질 등 아직 효능이 입증되지 않은 치료법에 대해 스스로 실험 대상이 되기를 원했던 것으로 알려졌다.한편 최근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 ...
- 성층권에 드론 날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7호
- EAV-3가 날 수 있는 하늘 공간의 가장 앞에서 비행하기 시작하면, 제트기류의 강한 바람에 뒤로 밀리더라도 결국 성층권까지 오를 수 있겠죠. 용어정리* 제트기류 : 고도 10km 부근에서 바람이 서쪽에서 동쪽으로 강하게 부는 현상 ... ...
- [수학뉴스] ‘골든 타임’ 중요한 해난 구조 수학이 돕는다수학동아 l2020년 07호
- 빠진 사람은 파도에 휩쓸려 계속 이동하기 때문에 사고가 발생한 뒤 6시간이 지나면 생존자를 찾을 확률이 급격히 낮아집니다. 빠르고 효과적인 실종자 수색을 위해 수학적인 분석을 활용하는데요, 최근 생존자의 위치를 더 정확하게 예측할 수 있는 연구 결과가 나왔습니다.기존의 수색 구조 모형은 ... ...
- [특집] 수학으로 따지기1. 외계인은 진짜 있을까?수학동아 l2020년 07호
- SETI) 회의에서 이 방정식을 발표하고 회의에 참석한 과학자들과 각 변숫값에 대해 논의한 뒤 통신 가능한 외계 문명의 수가 최소 20개는 된다고 주장했죠. 사실 이 방정식은 방정식의 해보다 외계인의 존재 여부를 알려면 앞으로 어떤 요소를 연구해야 하는지 제시하는 데 큰 의미가 있어요. 현재 ... ...
- [주니어 폴리매스] 게임 디자인 씽킹, 게임 분위기 결정하는 도형 구도수학동아 l2020년 07호
- 드립니다! 필자소개이은진 교수는 홍익대학교 미술대학과 영상대학원을 졸업한 뒤 엔씨소프트와 넥슨에서 리니지2, 길드워2, 마비노기 영웅전 등의 게임 개발에 참여했다. 경기콘텐츠진흥원에서 경기게임아카데미의 전임 교수로서 인디게임 개발사의 교육과 창업지원을 총괄했다. 현재는 ... ...
- [이달의 수학자] 끈기로 꽃피운 소신 스티븐 스메일수학동아 l2020년 07호
- 하지만 스메일 교수는 포기하지 않았습니다. 그리고 어렵사리 박사학위를 받은 뒤부터 빛을 발하기 시작했죠. 역사적인 난제인 ‘푸앵카레의 추측’이 5차원 이상에서 성립한다는 것을 증명해 수학계의 주목을 받았고, 그 업적으로 1966년 필즈상을 수상했습니다.스메일 교수는 필즈상 시상식이 열린 ... ...
이전20320420520620720820921021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