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뒤"(으)로 총 12,833건 검색되었습니다.
- 대한민국 청소년, 우리는 잠이 필요해!수학동아 l2020년 07호
- 우선 너희가 알아야 할 점은 갓 태어난 초파리는 아직 날지 못한다는 거야. 태어난 뒤 30분 이내에 날개를 펼치고, 뇌의 특정 부분이 활성화하기 시작하면 날 수 있어. 연구팀은 갓 태어난 초파리가 나는 법을 익힐 때 활성화되는 뉴런(뇌 신경세포)을 확인한 뒤, 여러 가지 날 수 없는 상황에 처한 ... ...
- 2002년 사스코로나바이러스┃ 만만했던 코로나바이러스 위력 처음 실감과학동아 l2020년 07호
- 단백질이 열쇠라면 숙주세포의 ACE2가 자물쇠 역할을 해 스파이크 단백질이 ACE2를 연 뒤 서로 단단하게 결합하면서 숙주세포 내부로 코로나바이러스를 통과시킨다. 코로나바이러스 외피에 있는 스파이크 단백질이 숙주세포 침입에는 핵심 도구인 셈이다. ACE2는 안지오텐신 전환효소(ACE· angiotensin ... ...
- 2016년 지카 바이러스 ┃치사율 ‘제로’에도 공포를 일으킨 바이러스과학동아 l2020년 07호
- 외에 별다른 증상을 보이지 않았다. 감염자의 80% 이상은 아무 증세를 보이지 않고 2주 뒤 체내 바이러스가 자연스레 소멸된다. 나머지 감염자들 역시 가벼운 발열이나 발진 증세만 보일 뿐 사망에 이르는 경우는 거의 없다. 2007년까지 확인된 감염 사례도 극히 드물었기 때문에 학계에서는 큰 관심을 ... ...
- 좋은 바이러스도 있을까과학동아 l2020년 07호
- 생명공학자들은 이를 활용했다. 바이러스의 DNA나 RNA 일부분을 원하는 유전자로 바꾼 뒤 숙주세포에 넣어 이 유전자를 치료가 필요한 유전자와 교체하면 어떨까. 바이러스를 유전자 운반체로 쓰는 것이다. 이게 바로 바이러스 벡터다. 바이러스 벡터 개발과 가장 관련 깊은 바이러스 종은 ... ...
- B림프구...항체 생산하는 면역의 종결자과학동아 l2020년 07호
- 항체를 만드는 세포는 태어난 직후 8~9주 동안은 간에서, 그 이후에는 골수에서 만들어진 뒤 성장한다는 사실이 확인됐다. 이 세포는 윤활주머니의 첫 글자를 따서 B림프구라는 이름을 갖게 됐다.B림프구는 성숙과정에서 유전자 재조합이 활발히 일어나고, 이를 통해 수많은 항원에 대응하는 다양한 ... ...
- 2008년 에이즈와 자궁경부암 바이러스를 발견하다과학동아 l2020년 07호
- 에이즈 바이러스의 최초 발견자로 보도하면서 상황은 일단락되는 듯했다. 그런데 9개월 뒤 갤로 연구팀이 발견한 HTLV-3의 유전체 염기서열이 몽타니에가 발견한 LAV와 거의 일치한다는 사실이 밝혀지면서 상황이 역전됐다. 해당 바이러스는 변이 속도가 굉장히 빠른 바이러스이기에 염기서열이 ... ...
- 1996년 면역세포가 ‘남’을 구분하는 원리를 밝히다과학동아 l2020년 07호
- 메더워는 일란성 쌍둥이와 이란성 쌍둥이인 소를 대상으로 서로의 피부를 이식한 뒤 변화를 살폈다. 당시 연구자들은 유전자가 100% 같은 일란성 쌍둥이 소에서는 면역거부반응이 일어나지 않고, 이란성 쌍둥이 소에서는 면역거부반응이 일어날 것이라고 예상했다. 그러나 모두의 예상을 깨고, 두 ... ...
- 단백질 백신_B형 간염 백신 Hepatitis B vaccine과학동아 l2020년 07호
- 백신은 이름에서 짐작되듯 바이러스를 조각내, 그중 항원으로 작용하는 부위만 분리한 뒤 정제해 만든 백신이다. 서브유닛 백신은 세포전체 백신보다는 부작용 우려가 낮지만, 항원을 정제하는 과정에서 불순물 등이 걸러지지 않는 경우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다. 최근에는 주로 유전공학적 ... ...
- 독수리 ‘하나’가 동물원에 온 사연은?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7호
- 탈진 상태의 독수리도 많아요. 이렇게 쓰러진 독수리들은 야생동물구조센터에서 구조한 뒤 기력을 회복시켜 다시 자연으로 돌려보낸답니다. 필자소개 김정호 수의사충북대학교에서 멸종위기종 삵의 마취와 보전에 관한 주제로 수의학 박사를 받았다. 청주동물원과는 학생실습생으로 인연이 ... ...
- [별헤는수학] ‘외계행성 탐험대’, ‘행성 사냥꾼:테스’ 태양계 밖에서 행성을 찾아라!수학동아 l2020년 07호
- 차례 케플러 우주망원경의 관측 데이터를 분석하는 ‘행성 사냥꾼’ 프로젝트가 진행된 뒤 종료됐고, 현재 ‘외계행성 탐험대’와 ‘행성 사냥꾼:테스’라는 두 개의 프로젝트가 운영되고 있습니다. 외계행성 탐험대는 케플러 우주망원경의 관측 데이터를, 행성사냥꾼:테스는 테스 우주망원경의 ... ...
이전20420520620720820921021121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