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뒤"(으)로 총 12,833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뉴스] 에어로젤 있으면 화성에서 살 수 있다?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5호
- 복사에너지, 100~200W/m²정도의 램프 빛을 2~3cm 두께의 실리카 에어로젤에 비추는 실험을 한 뒤 컴퓨터 모의 실험분석을 했어요. 그 결과, 실리카 에어로젤은 얇은 층만으로도 태양에서 오는 강한 자외선을 차단하고, 광합성에 필요한 가시광선은 충분히 투과시켰어요. 또, 실리카 에어로젤 아래의 ... ...
- [과학뉴스] 나뭇가지로 로봇을 만든다?!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5호
- 연구팀은 로봇이 걷도록 하기 위해 먼저 나뭇가지를 3차원 스캔하고 무게를 측정한 뒤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통해 로봇이 이동하고 걸을 수 있는 방법을 찾았어요. 로봇은 컴퓨터가 스스로 훈련하는 딥러닝 기술을 이용해 멀리 갈 수 있는 효율적인 걸음걸이 정보를 터득했지요. 연구팀은 로봇의 서브 ... ...
- [출동!기자단] LG CLOi와 랄라큐브를 만나다!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5호
- 모양으로 만들 수 있지요. 또, 스마트폰에 랄라큐브 앱을 내려받아 블루투스로 연결한 뒤 직접 코딩하면 움직이는 로봇이 돼요. 기자단 친구들은 클로이로 랄라큐브의 조립방법을 배우며 로봇을 만들었어요. 그리고 직접 코딩해 로봇 얼굴에 원하는 문자를 넣거나 원하는 방향으로 움직이도록 ... ...
- [통합과학교과서] 램프의 요정, 지니를 찾아서!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5호
- 아카사키 이사무 교수와 아마노 히로시 교수가 최초로 청색 LED를 개발했어요. 그뒤, 당시 니치아화학공업에서 일하던 나카무라 슈지가 청색 LED를 상용화시켰고, 이를 바탕으로 1996년 백색 LED가 개발됐답니다. LED는 에너지 효율이 좋은 덕분에 오늘날 형광등을 대체하고, 휴대전화 속에서 화면을 ... ...
- [섭섭박사의 메이커스쿨] 여기는 화성, 지구는 응답하라! 우주탐사 로버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5호
- 카메라’, 토양과 암석의 성분을 분석하는 ‘열복사 분광기’ 등이지요. 그리고 몸체의 뒤쪽에는 서로 다르게 생긴 두 개의 안테나가 달려 있답니다. 길쭉하게 생긴 안테나는 ‘저이득 안테나’, 접시 모양으로 생긴 안테나는 ‘고이득 안테나’지요. 안테나는 로버가 모은 자료를 지구로 ... ...
- 음식물 쓰레기 처리 현장을 가다!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4호
- 들어간 음식물 쓰레기는 먼저 잘게 쪼개진 뒤, 이물질을 제거하는 선별기를 지나가요. 그뒤 혐기성 소화조로 들어가면 50~60일 간 혐기성 세균이 음식물을 부패시키며 가스를 만들어내죠. 이는 사람이 장 속에서 방귀를 만드는 과정과 비슷해요. 메탄과 이산화탄소, 산소, 황화수소 등으로 이루어진 이 ... ...
- [가상 인터뷰] 살아있는 드릴? 돌 먹는 민물조개 발견!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4호
- 수 있단다.어머, 돌을 먹는다고?응. 우리는 갉아먹은 돌을 잘게 부숴 고운 모래로 만든 뒤 배출한단다. 그래서 우리 장엔 돌이 가득 차 있지. 연구팀은 이 돌의 화학 성분을 분석했는데, 우리가 뚫은 바위(사진➋)와 같은 성분인 것을 확인했어. 연구팀은 리토레도 아바타니카가 돌에서 어떤 영양분을 ... ...
- [출동!기자단] 수중 동물 친구들을 만나러 출동!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4호
- 손가락 한 마디 정도의 튀어나온 귀가 있어요. 두 번째로 물범은 물개와 달리 허리를 뒤로 젖히지 못하는 게 특징이에요. 마지막으로 짧고 뭉툭한 앞발을 가지면 물범, 일명 ‘물개박수’를 칠 수 있을 만큼 발이 길다면 물개로 구분할 수 있어요. 물개는 앞발이 길어 몸을 일으켜 세울 수도 있답니다 ... ...
- [섭섭박사 실험실] 추억은 방울방울 비눗방울 놀이~!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4호
- 떠다녔던 거예요. 원인이 궁금했던 보레이코 교수팀은 영하 18℃에서 비눗방울을 만든 뒤 비눗방울이 얼어붙는 과정을 초고속카메라와 열화상카메라로 촬영했어요. 초고속카메라로는 비눗방울 위의 얼음 결정이 움직이는 모습을, 열화상카메라로는 비눗방울 안팎의 온도 변화를 관찰했지요. 그 ... ...
- 기생충이 지구에서 사라진다면?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3호
- 기생충인 연가시의 개체수 회복 속도를 추정했답니다. 곱등이와 연가시를 채취한 뒤 DNA분석으로 구체적인 종을 알아내고, 이 종이 언제부터 숲에 살았는지를 조사하면 당시 개체수를 추정할 수 있지요. 그 결과, 곱등이는 최대로 회복되는 데 30년이 걸린 반면, 연가시는 50년 이상이 걸렸답니다 ... ...
이전23523623723823924024124224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