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뒤"(으)로 총 12,833건 검색되었습니다.
- 긱블 메이킹 현장 급습, 다마스쿠스 호미 머신과학동아 l2019년 12호
- 끝에 마침내 납축 배터리를 놓을 최적의 위치를 찾아냈습니다. 기계장치 중앙에서 약간 뒤쪽입니다. 여기에 납축 배터리를 놓고 글루건으로 고정했습니다.이제 몸체에 바퀴를 달아 이동도 가능하게 해야 하고, 블루투스로 조종할 수 있도록 아두이노도 코딩해야 합니다. 각 부품들을 만들기 위해 3D ... ...
- 이건 영화가 아니라 현실... 스마트시티가 해킹 된다면과학동아 l2019년 12호
- 대와 휴대전화 크기의 검은색 단말기 하나가 전부였다. 해커는 공용 와이파이에 접속한 뒤 해킹을 통해 카페에 있는 사람들이 자신의 단말기를 거쳐 와이파이를 사용하도록 만들었다. 그러자 해커의 노트북에는 카페에 있는 사람들의 온갖 정보가 나타나기 시작했다. 이름부터 직업, 취미, 최근 ... ...
- [이소연이 만난 우주인] 우주로 간 심장외과 의사, 무카이 치아키(向井 千秋)과학동아 l2019년 12호
- 올해 10월 14~18일 우주탐험가협회(ASE) 모임에 오랜만에 참석해 많은 선배 우주인들을 만난 뒤에 쓰는 것이라 여러 가지 생각들이 머릿속을 맴돈다. 1년 전 이맘때 누구에 대한 글을 쓸지 고민하며 떠올린 우주인들과 실제 소개한 우주인들은 얼마나 일치했을까? 최대한 다양한 우주인들을 소개하며 ... ...
- [교육뉴스] 수학 실력에 성별 차이 없어수학동아 l2019년 12호
- 대상으로 실험을 진행했습니다. 연구진은 아이들에게 수학 개념을 담은 영상을 보여준 뒤, 기능성자기공명영상(fMRI) 장치로 뇌를 촬영했습니다. 추가로 성인 63명의 뇌도 함께 촬영했습니다. 관찰 결과 수학 지식을 처리하는 동안 여아와 남아의 뇌가 반응하는 부위는 같았으며, 성인의 뇌와 ... ...
- [융복합파트너@DGIST]이차전지 성능 결정할 ‘꿈의 전해질’을 찾아서과학동아 l2019년 12호
- 굴을 따라 소위 ‘뒷걸음질’을 쳐 땅 표면까지 올라온 뒤 항문만 지표면 바깥으로 내민 뒤 배설한다. 지렁이의 똥탑이 가득한 흙은 고급 비료로 대접받는다. 옛말에도 지렁이가 많으면 농사가 잘 된다고 했다. 최 박사는 “지렁이 똥은 미생물이 풍부해 농작물의 생장을 돕는다”며 “지렁이 ... ...
- 지구방위대 모이다!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2호
- 3배 밝은 섬광이 번쩍 나타났어요. 지름 17~20m로 추정되는 소행성*이 대기권에 들어온 뒤 상공 30km에서 폭발한 거예요. 그 결과, 강한 충격파가 발생해 유리창이 깨지는 등 건물 7000여 채가 파괴되고 1400여 명의 부상자가 발생했어요. 아무도 예측하지 못한 사건이었지요. 천문학자들은 지구 주변 ... ...
- [충돌 D-DAY] 소행성의 파편이 떨어진다!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2호
- 촉박했다”고 말했어요. 실제로 NASA 등은 근지구소행성을 발견하고 궤도를 파악한 뒤 실시간으로 감시하고 있어요. 지금까지 발견된 근지구소행성은 다행히 우리가 살아있는 동안에는 충돌할 가능성이 거의 없지요. 문제는 아직 발견되지 않은 소행성이 훨씬 많다는 거예요. 김연구원은 ... ...
- [에디터노트] 십 년이 지나도과학동아 l2019년 12호
- 발전과 성과는 시계 태엽처럼 딱딱 맞춰서 움직이지 않는다. 연구개발(R&D)의 성공 뒤에는 쉽게 세기 힘들 정도로 거듭된 도전과 실패가 쌓여있다. 그래서 이듬해 성공할 것이라는 예상이 적중하면 더 큰 박수를 보낸다. 물론 단지 늦는다는 이유로 무조건 비난하는 일도 없다. 내년, 아니 앞으로의 1 ... ...
- [과학뉴스] 청소년 음주, 위험한 이유과학동아 l2019년 12호
- RNA의 일종인 miR-137을 측정했다. 측정 결과 청소년기에 알코올에 노출된 쥐는 성인이 된 뒤 뇌에서 miR-137 농도가 높게 나타났다. miR-137은 건강한 뉴런 성장에 필요한 단백질(LSD1)의 발현을 감소시켰다. 또한 청소년기에 알코올에 노출된 쥐는 생후 100일 이후부터 불안장애와 우울증 같은 행동 장애와 ... ...
- [과학뉴스] WOW! 보고, 듣고, 만지는 홀로그래픽 디스플레이과학동아 l2019년 12호
- 초음파를 사용한 게 특징이다. 우선 초소형 스피커에서 소리를 증폭해 초음파를 생성한 뒤 이를 3차원(3D) 공간에 음파장으로 구현했다. 이 음파장은 지름 1mm의 고분자화합물인 폴리스티렌 입자를 공중에서 이동시켜 원하는 홀로그래픽 영상(홀로그램)을 만드는 역할을 한다. 연구팀은 여기에 적색, ... ...
이전23723823924024124224324424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