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뒤"(으)로 총 12,833건 검색되었습니다.
- 이건 영화가 아니라 현실... 스마트시티가 해킹 된다면과학동아 l2019년 12호
- 대와 휴대전화 크기의 검은색 단말기 하나가 전부였다. 해커는 공용 와이파이에 접속한 뒤 해킹을 통해 카페에 있는 사람들이 자신의 단말기를 거쳐 와이파이를 사용하도록 만들었다. 그러자 해커의 노트북에는 카페에 있는 사람들의 온갖 정보가 나타나기 시작했다. 이름부터 직업, 취미, 최근 ... ...
- [로보트 재권V] 마침내 완성된 '로보트 재권v'과학동아 l2019년 12호
- 설치된 각종 센서를 통해 세상을 인식하게 하고, 인식된 데이터를 메모리에 저장한 뒤 프로세서를 통해 연산 과정을 거쳐 무언가를 결정하게 합니다. 그리고 몸에 장착된 액추에이터를 움직여, 이 결정에 대해 적절히 행동합니다. 로보트 재권V가 이렇게 작동할 수 있다면 마음을 가진 것처럼 ... ...
- [SF에 묻는다] 200살을 맞은 사나이 vs. 블레이드 러너과학동아 l2019년 12호
- 레이첼이 인간이라는 가짜 기억을 주입받은 레플리컨트라는 사실을 알아냅니다. 그 뒤 도망친 레플리컨트가 살던 집에서 사진과 합성 뱀 가죽 같은 물건을 찾아냅니다.집으로 돌아온 데커드는 자신을 기다리고 있는 레이첼을 발견합니다. 인간이라고 생각하고 있던 믿음이 흔들리면서 혼란이 온 ... ...
- [포토뉴스] 양자 물질 들여다보니 프랙털이 숨어있었네수학동아 l2019년 12호
- MIT) 연구진은 ‘양자 물질’의 일종인 네오디뮴 니켈산화물(NdNiO3)을 X선 촬영한 뒤 관찰했습니다. 양자 물질은 원자에서나 나타나는 것으로 여겨졌던 양자역학적인 특성이 나타나는 물질로, 기존의 물질과 다른 성질을 가집니다. 연구진이 관찰한 네오디뮴 니켈산화물은 자기력의 방향이 같은 ... ...
- 알고 리의 나 혼자 산다수학동아 l2019년 12호
- 두 개의 일부를 바꾸는 ‘교차’와 무작위로 식단을 바꾸는 ‘돌연변이’ 연산을 진행한 뒤 사용자가 좋아할 만한 식단인지 평가해요. 사용자가 만족할 때까지 선택부터 돌연변이 연산을 반복해 식단을 추천한답니다. 나의 흥을 책임지는 순열 알고리듬 갈 길이 멀 때 음악을 빠뜨릴 수 없죠. ... ...
- [전지적 수학 시점] 1010! 경우의 수로 최고 점수 얻기수학동아 l2019년 12호
- 높습니다. 높은 점수를 얻으려면 꽉 찬 가로줄 또는 세로줄을 열심히 만들어 지운 뒤, 어떤 블록이 나오더라도 블록을 놓을 자리를 확보해야 합니다! 무작위 속 전략을 찾아라 1010!은 게임 오버 되기 전까지 얻은 점수를 비교해 순위를 매깁니다. 점수는 크게 두 가지 방법으로 얻습니다. 첫 번째는 ... ...
- [미국유학일기] 3주 겨울방학은 휴식, 석 달 여름방학은 연구과학동아 l2019년 12호
- 오후 5~6시에 퇴근하는 친구가 있는가 하면, 마치 대학원생처럼 저녁을 먹고 야근을 한 뒤 이튿날 아침 일찍 출근하는 친구도 있다. 분야에 따라 차이가 있겠지만, 내가 연구하는 유기합성 분야는 시간을 많이 투자할수록 더 많은 결과를 얻을 수 있다. 그래서 여름방학마다 일주일에 50시간 이상 ... ...
- 지구방위대 모이다!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2호
- 3배 밝은 섬광이 번쩍 나타났어요. 지름 17~20m로 추정되는 소행성*이 대기권에 들어온 뒤 상공 30km에서 폭발한 거예요. 그 결과, 강한 충격파가 발생해 유리창이 깨지는 등 건물 7000여 채가 파괴되고 1400여 명의 부상자가 발생했어요. 아무도 예측하지 못한 사건이었지요. 천문학자들은 지구 주변 ... ...
- [과학뉴스] 청소년 음주, 위험한 이유과학동아 l2019년 12호
- RNA의 일종인 miR-137을 측정했다. 측정 결과 청소년기에 알코올에 노출된 쥐는 성인이 된 뒤 뇌에서 miR-137 농도가 높게 나타났다. miR-137은 건강한 뉴런 성장에 필요한 단백질(LSD1)의 발현을 감소시켰다. 또한 청소년기에 알코올에 노출된 쥐는 생후 100일 이후부터 불안장애와 우울증 같은 행동 장애와 ... ...
- [과학뉴스] WOW! 보고, 듣고, 만지는 홀로그래픽 디스플레이과학동아 l2019년 12호
- 초음파를 사용한 게 특징이다. 우선 초소형 스피커에서 소리를 증폭해 초음파를 생성한 뒤 이를 3차원(3D) 공간에 음파장으로 구현했다. 이 음파장은 지름 1mm의 고분자화합물인 폴리스티렌 입자를 공중에서 이동시켜 원하는 홀로그래픽 영상(홀로그램)을 만드는 역할을 한다. 연구팀은 여기에 적색, ... ...
이전23823924024124224324424524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