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뒤"(으)로 총 12,833건 검색되었습니다.
- [프리미엄 리포트] ‘소부장’ 구하러 UST 드림팀이 뜬다과학동아 l2019년 12호
- UST에 입학해 윤 교수의 지도로 올해 2월 석·박사통합과정을 졸업하고 박사학위를 받은 뒤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연구원으로 채용됐다. 윤 교수는 “얼굴에서는 홍채를 이용한 생체인증 기술이 발달했는데, 미세혈관에 의한 피부 변화로 심박수를 알 수도 있다”며 “얼굴의 이런 특성을 활용하면 ... ...
- 귀한 똥탑 쌓는 지렁이의 재발견과학동아 l2019년 12호
- 굴을 따라 소위 ‘뒷걸음질’을 쳐 땅 표면까지 올라온 뒤 항문만 지표면 바깥으로 내민 뒤 배설한다. 지렁이의 똥탑이 가득한 흙은 고급 비료로 대접받는다. 옛말에도 지렁이가 많으면 농사가 잘 된다고 했다. 최 박사는 “지렁이 똥은 미생물이 풍부해 농작물의 생장을 돕는다”며 “지렁이 ... ...
- [세상을 바꾼 원소] 금...세상을 이끌어온 노란빛, 인류의 영원한 보물과학동아 l2019년 12호
- 평범한 유리컵처럼 보이는데, 빛을 비추면 색깔이 변한다. 빛을 앞에서 비추면 초록빛을, 뒤에서 비추면 붉은빛을 띤다. 이 컵 또한 표면 플라스몬 공명을 이용해 만든 것이다. 소량의 금 나노입자가 포함된 유리로 만들었기 때문에 빛을 비추는 각도에 따라 색상이 달라지는 것이다. 물론 금 ... ...
- 아폴로부터 아르테미스까지, 우주복의 진화과학동아 l2019년 12호
- 수행할 우주 비행사가 결정되면 존슨우주센터에서 몸 전체를 3차원(3D) 영상으로 촬영한 뒤 개인의 자세와 움직이는 특성까지 반영해 몸에 딱 맞는 우주복을 제작할 계획이다. xEMU는 안전시스템도 대폭 개선됐다. 기존의 선외 우주복은 우주 비행사가 내뱉은 이산화탄소를 흡수하고 저장하는 ... ...
- [SF에 묻는다] 200살을 맞은 사나이 vs. 블레이드 러너과학동아 l2019년 12호
- 레이첼이 인간이라는 가짜 기억을 주입받은 레플리컨트라는 사실을 알아냅니다. 그 뒤 도망친 레플리컨트가 살던 집에서 사진과 합성 뱀 가죽 같은 물건을 찾아냅니다.집으로 돌아온 데커드는 자신을 기다리고 있는 레이첼을 발견합니다. 인간이라고 생각하고 있던 믿음이 흔들리면서 혼란이 온 ... ...
- 신비한 양자컴퓨터, 영~롱한 샹들리에의 정체는?수학동아 l2019년 12호
- 그런데 실제 인공지능이 안에 들어있는 건 아냐. 단지 사용자의 말을 스마트폰이 인식한 뒤 신호를 빠르게 서버에 전달하고, 서버에 있는 인공지능이 신호를 해석해 다시 빠르게 스마트폰에 보내는 거지. 그래서 인터넷 연결이 끊기면 인공지능 비서도 동작하지 않는 거야.미래에 양자컴퓨터가 ... ...
- 아름다운 우주를 만든 작은 것들을 위한 時수학동아 l2019년 12호
- 왜소은하에서 나오는 빛을 통해 은하 속에 얼마나 많은 별이 들어 있는지 계산했죠. 그런 뒤 왜소은하의 움직임과 주변 천체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왜소은하가 미치는 중력을 계산했습니다. 중력을 통해 왜소은하의 질량을 역으로 계산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왜소은하의 빛을 이용해 계산한 질량은 ... ...
- [수학미술관] 매듭의 마술사 김윤철수학동아 l2019년 12호
- 수천 번의 계산 끝에 크로마가 탄생한 거죠. ●제 2전시관 '임펄스' 크로마를 뒤로 하고 제2전시관으로 이동하면 샹들리에처럼 생긴 작품이 있습니다. 우주의 신호를 보여주는 ‘임펄스’입니다. 임펄스는 27개의 굵은 관과 얇은 관들로 이뤄져 있습니다. 바로 옆에 안테나처럼 생긴 작품 ... ...
- [전지적 수학 시점] 1010! 경우의 수로 최고 점수 얻기수학동아 l2019년 12호
- 높습니다. 높은 점수를 얻으려면 꽉 찬 가로줄 또는 세로줄을 열심히 만들어 지운 뒤, 어떤 블록이 나오더라도 블록을 놓을 자리를 확보해야 합니다! 무작위 속 전략을 찾아라 1010!은 게임 오버 되기 전까지 얻은 점수를 비교해 순위를 매깁니다. 점수는 크게 두 가지 방법으로 얻습니다. 첫 번째는 ... ...
- [중국유학일기] 한국보다 짧은 방학 ‘알바’ 대신 ‘열공’과학동아 l2019년 12호
- 신이 난다. 그리고 설레는 마음으로 이것저것 계획을 세우곤 한다. 그런데 방학이 끝난 뒤 친구들과 이야기를 나눠보면, 중국 학생이나 한국 학생이나 계획을 100% 실행하는 데 성공한 경우는 별로 없다. 방학을 알차게 보내기란 쉽지 않은 일인 것 같다 ... ...
이전23823924024124224324424524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