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끝
나중
다음
배후
뒤쪽
후방
꽁무니
d라이브러리
"
뒤
"(으)로 총 12,833건 검색되었습니다.
멸종위기종 금개구리 신체검사 받던 날
과학동아
l
2019년 11호
추출할 수 있다. 또 수컷의 총배설강(번식과 배설을 하는 구멍)을 자극해 정액을 얻은
뒤
이를 알 위에 뿌려 수정란을 얻는다. 이 책임연구원은 “내후년에는 수원청개구리의 인공번식을 시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또 멸종위기 어류의 경우 인공번식 대신 줄기세포를 이용한 복원법도 개발됐다. ... ...
태양계 너머 외계행성을 찾다
과학동아
l
2019년 11호
외계행성을 발견해 국제학술지 ‘네이처’에 발표했다. doi: 10.1038/355145a0 그리고 3년
뒤
마요르 교수와 쿠엘로 연구원의 논문이 역시나 ‘네이처’에 게재됐다. 두 논문 모두 ‘네이처’에 실렸지만, 학계의 과학적 관심도를 보여주는 논문 피인용 횟수는 마요르 교수와 쿠엘로 연구원의 논문이 3배 ... ...
웹툰 그리는 서울대 공학박사 ‘닥터앤닥터 육아일기’ 닥터베르
과학동아
l
2019년 11호
2017년 큰 사고를 겪으면서 인생관에 변화가 생겼다. 그는 “경추 골절 사고를 겪은
뒤
오랫동안 병상에 누워 있으면서 인생에 대해 다시 생각하게 됐다”며 “수험생들이 수능이 끝나면 하고 싶은 일을 적듯이 다시 일어나면 하고 싶은 일을 버킷리스트로 만들었다”고 말했다.일단 박사 과정을 ... ...
엇, 이게 죽어? ‘랙’ 없는 온라인 게임 가능할까
과학동아
l
2019년 11호
ms라는 시간은 사람이 움직임과 행동을 갑자기 바꾸지 못할 만큼 짧은 순간이라 다음 200ms
뒤
의 상황에 대한 예측이 가능하다”고 말했다. 이로써 발사 200ms 전까지의 적의 움직임을 통해 다음 움직임을 예측한
뒤
, 유저의 레이턴시에 따라 게임 내 디자인 요소들의 형태나 크기를 변화시킬 수 있다. ... ...
로봇공학전공 홀로그램 기술과 딥러닝이 만나면
과학동아
l
2019년 11호
여기서 한 걸음 더 나아갔다. 유도만능줄기세포로 수십 개의 심장근육세포를 배양한
뒤
이들의 박동 리듬이 동기화되거나 불규칙해지는 과정을 정량적으로 분석하는 데 성공한 것이다. doi: 10.1364/BOE.10.000610 이를 이용하면 신약 개발의 첫 단계에서 약물 후보물질에 대한 세포 수준의 반응성을 더 ... ...
아픈 돼지 고르는 안면 인식 알고리듬
수학동아
l
2019년 11호
뒤
에는 소리와 체온 같은 특징과 행동을 분석합니다. 마이크로 기침 소리를 녹음한
뒤
병에 걸린 돼지의 기침 소리와 비교하고, 적외선 촬영을 통해 체온도 알 수 있습니다. 비틀거리거나 먹이를 먹지 않는 이상 행동도 파악할 수 있죠. 이상 행동을 보이면 실시간으로 농장 주인에게 알려주는 ... ...
[수학뉴스] 해변에서 ‘뫼비우스 띠’ 떠올린 뫼비우스
수학동아
l
2019년 11호
바닷가에 놀러간 뫼비우스가 파리를 잡기 위해 종이 띠의 양쪽 면에 접착제를 바른
뒤
끈적이는 면을 바깥으로 하려고 한쪽 끝을 비틀어 붙여 놨는데, 그게 뫼비우스의 띠였던 거죠. 휴가지에서 조차 수학을 생각했던 뫼비우스의 아이디어는 지금까지도 빛을 발하고 있습니다. ... ...
[과학뉴스] 세계에서 가장 빠른 ‘개미계의 우사인 볼트’
과학동아
l
2019년 11호
서식하는 사하라은개미(Cataglyphis bombycina)다. 연구팀은 사하라은개미의 활동을 촬영한
뒤
이를 통해 개미의 최고 이동속력을 계산했다. 그 결과, 온도가 60도 가량인 사막 모래 위에서는 초속 0.855m까지 달린다는 사실이 확인됐다. 이는 자신의 몸길이의 약 108배의 길이를 1초 만에 주파한다는 뜻이다. ... ...
[과학뉴스] 스스로 소리 내는 탄소나노튜브 개발
과학동아
l
2019년 11호
배 얇은 지름 3nm (나노미터·10억분의 1m)인 탄소나노튜브를 만들어 일정한 전압을 걸어준
뒤
전기저항의 변화를 측정했다. 그 결과 줄이 진동하며 소리를 내고, 더 이상 전압을 걸어주지 않더라도 진동은 멈추지 않는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진동하는 줄은 약 231MHz의 초음파를 냈다.연구팀은 ... ...
[과학뉴스] 화성 분화구 속에 ‘염분 호수’ 있었다
과학동아
l
2019년 11호
분석했다. 샤프산은 수십억 년 전 게일 크레이터가 소행성 등의 충돌로 만들어진
뒤
퇴적물이 채워지고 다시 풍화하는 과정에서 생긴 5500m 높이의 산이다. 그 결과, 2017년에 탐사했던 퇴적층인 서턴섬(Sutton Island)에 황산염이 존재했다는 사실이 확인됐다. 서턴섬은 약 37억~33억 년 전 형성된 것으로 ... ...
이전
242
243
244
245
246
247
248
249
25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