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곡식"(으)로 총 161건 검색되었습니다.
- 흥부가 제비를 만난 건 우연일까?어린이과학동아 l201507
- 주석은 파리, 모기, 쥐, 참새를 없애는 운동을 대대적으로 벌였어요. 이 중 참새는 곡식의 낟알을 먹어서 농부의 노동의 결실을 앗아간다는 이유였지요. 많은 사람들은 항아리와 냄비를 치고, 북을 두들겨서 참새가 놀라 땅에 내려앉지 못하게 했어요. 또 참새의 둥지를 뒤져 알이나 새끼를 없애고, ... ...
- [Life & Tech] 산(酸), ‘풍요의 시대’ 연 식품계의 일등 공신과학동아 l201506
- 현 식품의약품안전처)이 낸 자료(3-MCPD 리스크 프로필)에 따르면 빵이나 시리얼 등 가열한 곡식이나 도넛 등의 과자에서도 발견된 적이 있다. 이 물질이 식품 산분해와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다는 뜻이다. 한 식품업계 연구원은 “소금이 든 가열식품에서 주로 발견되는 등 산보다는 염화이온(Cl-)이 ... ...
- 깜짝 놀라지 않을 턱이 있나?어린이과학동아 l201502
- 우리나라를 비롯해 중국이나 베트남에서는 예전부터 밥(곡물)을 주식으로 먹어왔어요. 곡식을 잘 소화시키려면 오랫동안 여러 번 씹어 먹어야 하지요. 그래서 턱 근육이 잘 발달해 다른 인종에 비해 턱이 크고 각이 졌으며, 얼굴형이 전체적으로 넓적하다는 게 블루먼펠드 박사의 주장이에요 ... ...
- 밀 VS 보리어린이과학동아 l201422
- 쌀과 함께 세계 4대 작물로 꼽힌답니다. 우리나라에서는 예로부터 쌀 다음으로 많이 먹는 곡식이었지만 요즘은 맥주나 위스키, 엿기름, 고추장을 만드는 데 주로 쓰이고 있어요. 보리는 따뜻한 기후에서 잘 자라며, 다 자라면 키가 1m 정도 돼요. 다른 맥류, 즉 밀이나 호밀, 귀리에 비해 탄수화물의 ... ...
- 멸종 위기의 지구생물을 지켜라! 생물다양성어린이과학동아 l201420
- 추락하고 말지.비행기를 못 타봐서 실감이 안 난다고? 참새 이야기를 들려 주지. 누렇게 곡식이 익어가는 가을에 참새는 참 나쁜 동물이란다. 벼 이삭을 쪼아 먹어 수확량을 줄이거든. 그래서 중국의 한 마을에서는 동네 참새를 모두 없애버렸단다.그런데 전년도보다 수확량이 더 줄었단다. 왜일까? ... ...
- 빨간 모자는 궁금한 걸 못 참아 텔로미어를 뛰어넘는 할머니의 힘!어린이과학동아 l201410
- 세포 하나로 이루어진 단세포 생물조차도 말이야.이런 것도 ‘노화’?쌀이나 밀 같은 곡식을 물과 함께 익히면 안에 있던 베타 전분이 부풀어 투명하고 끈적끈적한 알파 전분으로 바뀐다. 딱딱한 쌀이 부드럽고 맛있는 밥으로 바뀌는 이 과정을 ‘호화’라고 한다.그런데 호화된 밥이나 빵, 떡을 ... ...
- [life & tech] 우리 조상은 언제부터 흰 쌀밥을 먹게 됐을까과학동아 l201410
- 이전까지 대부분의 백성들이 쌀밥을 먹지 못했기 때문에 숟가락이 필요 없었다(다른 곡식으로도 밥을 해먹지 않았다). 조선 시대 이전에는 쌀밥은 귀족과 왕의 전유물이었다. 평민에게 쌀은 아주 귀한 작물이었다. 통일신라시대에는 평민들은 조나 보리를 먹었고 귀족은 쌀을 먹었다. 밥을 지을 ... ...
- PART 3. 인간의 역사를 바꾼 꽃의 유혹과학동아 l201404
- 엄마 꽃이 양분을 미리 저장하는 것이다. 이를 ‘중복수정’이라고 하며, 옥수수 같은 곡식 낱알이 바로 이 식량저장고다. 러시아 식물학자 세르게이 나바친은 1898년 최초로 꽃의 중복수정을 발견했다.내배유에는 기름 성분이 많다. 기름에 에너지를 많이 저장할 수 있기 때문인데, 화학 구조에 따라 ... ...
- 수학으로 만든 화폐, 비트코인!수학동아 l201312
- 은, 구리, 청동 같은 금속이 점차 곡식과 동물을 대신하는 화폐로 사용되기 시작했다. 곡식과 동물은 상하거나 죽을 수 있지만, 금속은 변질될 염려가 없고 휴대하기 간편하다는 장점 때문이다. 메소포타미아 지역뿐 아니라 중국과 인도 등 다양한 문명권에서 널리 쓰이기 시작한 금속 화폐는 ... ...
- “고귀마를 조선 팔도에 퍼뜨려라”과학동아 l201310
- 한문 표기)는 생으로 먹을 수도 있고, 구워서도 먹으며, 삶아서 먹을 수도 있다. 곡식과 섞어 죽을 쑤어도 되고, 떡을 만들거나 밥에 섞어도 된다. 고귀마를 넣어 되지 않는 음식이 없으니 이 고귀마가 조선팔도에 퍼진다면 굶주리는 백성이 결코 없을 것이다”라고 기록했다고구마는 식량뿐만 아니라 ... ...
이전12345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