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달기
뉴스
"
단맛
"(으)로 총 163건 검색되었습니다.
[헷갈린 과학] 이온음료 VS 탄산음료...운동 후 적당한 음료는
어린이과학동아
l
2023.10.07
빵 등의 주성분이자 우리 몸의 에너지원인 탄수화물이 이온 음료에도 들어 있거든요.
단맛
을 더하기 위해 들어 있는 설탕 역시 에너지원으로 사용될 수 있습니다. 이처럼 이온 음료에는 물 외에도 전해질과 탄수화물 등이 들어 있기 때문에 적당히 마셔야 합니다. 필요 이상으로 마시면 혈당이 ... ...
고양이가 참치를 좋아하는 이유..."최고의 감칠맛이 느껴진다냥"
동아사이언스
l
2023.08.27
'우마미'라고 부르는 감칠맛은 1985년 이 맛을 감지하는 수용체가 혀에서 발견되면서
단맛
, 짠맛, 신맛, 쓴맛에 이어 미각의 5번째 기본 맛으로 인정됐다. 육식동물은 일반적으로 감칠맛을 선호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고양이가 감칠맛을 느끼는 독특한 방식의 비밀을 풀기 위해 연구팀은 유전자 ... ...
"
단맛
으로 유명한 과일 '나한과’, 폐질환 완화효능 확인"
동아사이언스
l
2023.07.20
COPD) 완화 효과가 확인된 전통약재 나한과. 한국한의학연구원 제공 특유의
단맛
으로 유명한 전통약재 ‘나한과’ 추출물에서 만성폐쇄성폐질환(COPD)을 완화하는 효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한의학연구원은 성윤영 한의과학연구부 책임연구원 연구팀이 나한과 추출물에서 ... ...
[씨즈더퓨처] 제로슈거의 미래는...'아스파탐' 발암 가능 물질 지정
2023.07.16
있는
단맛
수용체가 설탕 등의 성분과 결합할 때 느껴지는데 대체 감미료는 설탕보다
단맛
수용체와 더 잘 결합해 설탕보다 보통 수백 배 달다. 그럼에도 소화가 되지 않아 설탕과 달리 칼로리가 없거나 극소량이며 혈당량도 급격히 변하지 않는다. 이런 특징으로 대체 감미료는 설탕의 ... ...
WHO “아스파탐은 발암가능물질” 확정...식약처 “안전성 문제없어”
동아사이언스
l
2023.07.14
문제가 없다는 의견을 공식화했다. 설탕보다 감미도가 200배 높아 소량만 사용해도
단맛
을 낼 수 있는 아스파탐은 현재 제로칼로리 음료는 물론 빵류, 과자류, 음료류 등에 다양하게 활용되고 있다. WHO 산하 국제암연구소(IARC)와 WHO·유엔식량농업기구(FAO) 합동 식품첨가물전문가위원회(JECFA)는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아스파탐' 발암 논란의 이면...'맛은 몸 전체가 느낀다'
2023.07.12
하나를 잃는 법’이라는 말이 더 와닿는 선택의 연속이다. 칼로리 제로인 인공감미료로
단맛
은 여전히 즐기면서도 살을 빼고 당뇨도 예방한다는 언뜻 과학적인 설명처럼 보이는 시나리오는 인체에 대한 깊은 통찰이 빠진 달콤한 꿈일 뿐이다. ※ 필자소개 강석기 과학칼럼니스트 (kangsukki@gmail.com). ... ...
'제로 칼로리' 음료에 든 '아스파탐', 발암가능물질 분류 임박 '논란'
동아사이언스
l
2023.06.30
사실이 알려지면서 반박 의견들이 제기되고 있다. DenisMArt/게티이미지 제공. 설탕 대신
단맛
을 내는 데 쓰이는 인공감미료 '아스파탐'이 '발암 가능 물질'로 분류될 예정이다. 아스파탐은 설탕보다 200배 더 단 저칼로리 인공 감미료로, 제로 칼로리 탄산음료 등에 들어 있다. 로이터통신은 29일 ... ...
음식 사진 반복해서 보면 '포만감' 느낄 수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23.05.23
초콜릿을 원했다. 초콜릿 색깔을 바꿔 진행한 실험에서도 같은 결과가 나왔다. 또
단맛
이 나는 M&M 초콜릿과 달리 신맛이 특징인 ‘스키틀즈’ 젤리를 이용한 실험에서도 동일한 결론이 도출됐다. 연구팀은 “음식물의 색깔이나 맛과 무관하게 더 많은 횟수에 걸쳐 사진을 본 그룹에서 원하는 ... ...
"제로슈거 음료 속 인공감미료, 체중조절 효과 없고 당뇨 위험 키워"
동아사이언스
l
2023.05.16
아니고 영양적 가치가 없다"며 "건강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어릴 때 시작해 식품의
단맛
을 전체적으로 줄여가야 한다"고 이번 권고의 의미를 요약했다. 이번 WHO 결정을 두고 전문가들은 엇갈린 의견을 내보였다. 미국의 보건의료단체 '책임있는 의학을 위한 의사위원회'의 회원인 스테파니 맥버넷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청소년 마약 범죄 '철퇴' 필요한 과학적 이유
2023.05.03
흥미롭게도 사람 역시 대마초를 피우면 후각의 민감도에 변화가 생기고 미각 역시 유독
단맛
에만 민감하게 바뀐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대마초를 피우면 식욕이 왕성해지는 배경에는 감각 민감도의 변화가 있다. 배고플 때와 배부를 때 음식 냄새와 맛이 다르게 느껴지는 것도 몸 상태를 반영한 ... ...
이전
1
2
3
4
5
6
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