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번역"(으)로 총 559건 검색되었습니다.
- [강석기의 과학카페]“천재에게 좋은 인간성까지 바라지는 마세요”...아인슈타인을 위한 변명2018.06.19
- 경악스럽다. 오죽하면 2009년 나온 전기 제목이 ‘가장 이상한 사람(The Strangest Man(국내 미번역)’일까. 디랙은 평생 단 한 번 눈물을 흘렸는데, 1955년 아인슈타인이 사망했다는 소식을 들었을 때라고 한다! 사실 이런 현상이 과학이나 공학 분야에서만 보이는 건 아니다. 예술도 마찬가지다. 1984년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장미의 과학, 꽃의 여왕은 이렇게 탄생했다2018.05.14
- 프랑스는 이전의 장미품종들과 격이 달랐다. 라 프랑스는 ‘하이브리드 티(Hybrid tea. 굳이 번역하자면 ‘잡종 차)’로 불리는 품종들의 효시다. 오늘날 장미육종가들은 라 프랑스 이전의 품종들을 ‘고전장미(old rose)’로, 라 프랑스 이후의 품종들은 ‘현대장미(modern rose)’로 부른다. 오늘날 ... ...
- [호킹, 별이 되어 떠나다] 호킹의 말로 되돌아본 그의 삶 과학동아 l2018.04.11
- 그는 1988년 대중서인 ‘시간의 역사’를 출간했다. ‘시간의 역사’는 40개 언어로 번역돼 전 세계에 1000만 권 넘게 팔렸다. 하지만 어려운 내용 탓인지 오늘날 출판계에는 ‘호킹 지수’라는 지표가 있다. 책의 전체 페이지를 100페이지라고 가정할 때 실제 읽은 페이지를 나타내는 숫자로, ‘시간의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한 시대를 풍미한 과학자 스티븐 호킹을 기리며...2018.03.14
- 숱한 우여곡절을 거쳐 1988년에야 출판됐는데 즉시 베스트셀러에 올랐고 40개 언어로 번역돼 천만 부 넘게 팔렸다. 이 현상에 대해 호킹은 “내가 장애를 딛고 이론물리학자가 되기까지의 흥미로운 사연이 책의 판매에 도움이 되었다는 점은 의심의 여지가 없다”고 인정했다. 그 뒤에도 호킹은 대중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푸른' 종소리 '보는' 공감각의 비밀 풀렸다 2018.03.13
- 아미노산도 바뀌게 돼 변이 단백질이 만들어진다. SLC9A6 유전자 변이는 아미노산으로 번역되지 않는 부분의 염기가 바뀐 것으로 만들어지는 단백질은 똑같지만 발현량이 다를 것이다. SLIT2와 ROBO3는 축삭이 자라는 길을 안내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가계16의 공감각자들은 MYO10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당신은 칼슘맛을 느끼십니까2018.02.13
- 이 책부터 보기 시작했다. 그런데 1장을 읽다보니 좀 이상했다. ‘대단한 넷’ 정도로 번역할 수 있는 ‘The fab four’라는 제목이 뜻하는 건 기본맛 네 가지였다. 단맛, 신맛, 짠맛, 쓴맛 순서로 흥미로운 최신 연구결과들을 소개하고 있는데 읽다가 문득 ‘왜 넷이지?’라는 의문이 들었다.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청바지 파란색 인디고, 녹색으로 거듭날 수 있을까?2018.01.23
- 물이 빠진 상태를 기다리지 못해 물을 뺀 상태의 청바지를 사는 사람들도 많다. 지난해 번역출간된 ‘청바지 인류학’이라는 책에서 로베르타 사사텔리 이탈리아 밀라노대 사회학과 교수는 “다른 의복과 달리 청바지 표면의 반복 착용과 색 바랜 흔적 속에 숨은 시간은 일종의 부가가치로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9000년 전 사냥개의 활약상 생생하게 묘사된 암각화 감상법2018.01.09
- 개와의 협력이 현생인류의 성공에 중요했다는 가설을 담고 있는 ‘침입종 인간’이 최근 번역출간됐다. 2015년 출간된 원서의 표지로 개가 늑대처럼 생긴 것으로 묘사돼 있다.- 아마존(amazone.com) 제공 즉 시프먼 교수에 따르면 유럽에 진출한 호모사피엔스(그래서 침입종이다)가 먼저 살고 있던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카페라테의 유체역학2018.01.02
- macchiato)는 ‘얼룩’이라는 뜻의 이탈리아어로 라테 마키아또는 ‘얼룩진 우유’ 정도로 번역할 수 있다. 전통적인 라테 마키아또는 우유에 에스프레소를 1/2샷 정도 넣는데 에스프레소가 아래로 퍼져나가며 얼룩처럼 보이기 때문이다. 필자는 카페 메뉴에서 아직 이 이름을 본 적이 없는데 ... ...
- 강석기의 과학카페ㅣ기다리다 지친 과학자, 반합성(semi-synthetic) 생명체 만들다!2017.12.06
- 리보솜 역시 비정규 염기쌍이 포함된 mRNA의 코돈과 tRNA의 안티코돈 쌍을 세린으로 맞게 번역했다. 세 가지 염기쌍을 지닌 반합성생명체가 제대로 작동해 아무 일도 없었다는 듯이 산다는 말이다. 다음으로 연구자들은 세 번째 염기쌍을 이용해 비정규 아미노산을 포함한 형광단백질을 만들어보기로 ... ...
이전43444546474849505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