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번역"(으)로 총 559건 검색되었습니다.
- [2015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15)의학계의 계관시인 ‘올리버 색스’2016.01.05
- 대표작 ‘아내를 모자로 착각한 남자’(1985년 출간)를 비롯해 십여 권이 우리말로 번역돼 있을 정도로 국내 독자층도 두텁다. 1933년 영국 런던에서 태어난 색스는 부모가 의사였고 집안에 의사, 과학자, 발명가 등 ‘이과’ 친척들이 많았다. 색스는 어린 시절 화학자를 꿈꾸었는데, 텅스텐 채굴 ... ...
- [2015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12)대멸종설을 주장한 고생물학자 ‘데이비드 라우프’2016.01.02
- ‘네메시스 사건(The Nemesis Affair, 1986)’과 ‘멸종(Extinction, 1991)도 냈다(둘 다 미번역). 이들 책에서 라우프는 대량멸종이 진화에 미친 영향이 큼을 보여주면서 대량멸종이 유전자가 나빠서라기보다는 불운의 결과일수 있다고 주장했다. ※ 필자소개 서울대 화학과와 동대학원을 졸업했다. ... ...
- [2015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8)왼손잡이 DNA 존재를 밝힌 생물학자 알렉산더 리치 2015.12.29
- 대장균 같은 원핵생물에서 전사로 만들어지고 있는 전령RNA에 리보솜이 줄줄이 달라붙어 번역, 즉 단백질을 만드는 복합체인 폴리솜(polysome)을 규명했다. 다들 생명과학 교과서에 나오는 기초연구다. 1979년 결정학자 앤드류 왕과 함께 Z-DNA의 존재를 규명했는데, 이 구조가 몇몇 유전자 발현을 ... ...
- [2015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6)피임약의 아버지 ‘칼 제라시’2015.12.26
- 무려 91세에 쓴 네 번째 자서전이라고 한다. 한 번 읽어보고 재미있으면 아는 출판사에 번역서를 제의해볼까 잠깐 생각해봤다. 그런데 서평이 실리고 3개월이 지난 ‘네이처’ 3월 5일자에 칼 제라시의 부고가 실렸다. 제라시가 올해 1월 30일 지병으로 타계했다는 것. 따라서 그가 죽기 3개월 전인 ... ...
- [영화 ‘하트 오브 더 씨’를 보고] 고래 잠수 능력의 비밀은… 2015.12.14
- 수상한 베스트셀러다. 우리나라에서도 2001년 ‘바다 한가운데서’라는 제목으로 번역서가 나왔고 절판됐다가 이번 개봉에 맞춰 재출간됐다. 책을 사 읽어보니(영화보다 더 재미있었다) 작가가 어떻게 용인했을까 싶을 정도로 영화에서는 많은 사실이 왜곡돼 있었다. 소설 ‘모비딕’의 모티브가 ... ...
- '사교위상수학과 플로어 상동성' 분야의 기본 교과서 출간IBS l2015.11.17
- 도입한 업적에 대해 강의했다. 한편, 사교기하학에서 사교는 일본 수학자들이 번역한 단어다. 사교에 해당하는 영문 심플렉틱(symplectic)은 그리스어와 인도-유럽어의 접미사를 결합해서 만든 신조어로 '복잡한'이란 뜻이다. 20세기 초 관련 학자들이 complex geometry라고 명명하려고 했지만, 이미 ... ...
- [HISTORY] 우리나라 전기공학의 선구자, 한만춘KISTI l2015.11.14
- 일본, 미국의 교재를 사용해 강의를 할 수 밖에 없었다. 한만춘 교수는 1960년 번역 출판을 시작으로 , , , , 등의 저서를 출간해 후학들의 학문 증진에 힘썼다. 연세 101 아날로그 전자계산기 - 문화재청 제공 그의 또 ... ...
- 화성 탐사의 심리학2015.10.19
- ‘마션’이 개봉 11일 만에 관객수 300만 명을 돌파하며 인기몰이를 하고 한다. 지난 7월 번역출간된 동명의 원작 소설도 SF로서는 드물게 판매집계 소설 순위 1위(전체 4위, 교보문고)에 올랐다. 다들 반가운 일이다. 특히 소설은 출판사들이 책을 내주지 않아 작가인 앤디 위어가 2011년 자비로 e-북을 ... ...
- [HISTORY] 의사(醫師)들의 독립운동기KISTI l2015.10.13
- 일본에서 온 의학서적들을 영어로 번역하는 아르바이트를 했다. 서재필은 의학서적을 번역하면서 의학에 관심을 갖게 됐고, 현재 조지워싱턴 대학교의 전신인 컬럼비안 대학(Columbian University) 의과대학 야간학부에 입학했다. 서재필, 콜롬비아 대학교 졸업 앨범-맨 윗줄 왼쪽에서 세 번째 - ... ...
- 호모 날레디, 고인류학을 비추는 별이 될까2015.09.14
- ’에 관한 내용이다. 날레디는 남아프리카공화국의 세소토어로 별이라는 뜻이다. 굳이 번역하자면 ‘별의 인간’인 셈이다. 남아공 비트바테르스란트대의 고인류학자 리 버거 교수가 이끄는 공동연구팀은 학술지 ‘이라이프(eLife)’에 발표한 논문 두 편에서 신종 인류 호모 날레디의 발견을 공식 ... ...
이전47484950515253545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