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해석
직역
풀이
설명
해설
의역
해독
스페셜
"
번역
"(으)로 총 560건 검색되었습니다.
호모 날레디, 고인류학을 비추는 별이 될까
2015.09.14
’에 관한 내용이다. 날레디는 남아프리카공화국의 세소토어로 별이라는 뜻이다. 굳이
번역
하자면 ‘별의 인간’인 셈이다. 남아공 비트바테르스란트대의 고인류학자 리 버거 교수가 이끄는 공동연구팀은 학술지 ‘이라이프(eLife)’에 발표한 논문 두 편에서 신종 인류 호모 날레디의 발견을 공식 ... ...
효모 정밀화학공장, 말라리아치료제에서 마약성진통제까지 생산
2015.08.24
유전자의 전사와
번역
, 후가공 등에서 큰 차이를 보인다. 진핵생물의 많은 효소들은
번역
으로 만들어진 단백질에 당이나 지방 분자가 붙어야 기능을 하는데, 대장균의 경우 단백질 구조를 인식해 똑같이 후가공을 하는 않는 경우가 많다. 또 진핵생물의 단백질 가운데는 미토콘드리아나 소포체처럼 ... ...
종교는 과학을 도울 수 있을까?
2015.08.10
‘라우다토 시(Laudato si')’라는 중세 중부이탈리아어 제목(‘찬미를 받으소서’로
번역
)의 이번 회칙은 지구촌 70억 명을 대상으로 하고 있다. ‘우리 공동소유 집(지구)을 보살펴야 한다’는 부제에서 짐작할 수 있듯이 이번 회칙은 종교적인 문제가 아니라 기후변화와 환경을 중심으로 인류가 ... ...
머리 겔만과 펜타쿼크
2015.07.27
고도의 추상적인 아이디어에 불교용어(국내 물리학계에서는 불교용어인 팔정도로
번역
하지 않았다)를 가져다쓰는 재치를 발휘했다. 팔중도를 연구하던 겔만은 강입자가 기본입자가 아니라 다른 기본입자로 이뤄진 복합입자여야 한다는 결론에 도달한다. 그리고 기상천외한 이론을 만들었는데, ... ...
질소 고정, 콩과식물만의 능력인가?
2015.07.13
한 구석에서 식물학 분야에서는 유명한 교재인 ‘타이즈와 자이거의 식물생리학(2009년
번역
출간된 4판)’을 꺼내 질소고정을 다룬 부분을 읽어봤다. 자연계에서 연간 1억 9000만t의 질소가 고정되는데 이 가운데 10%만이 번개나 광화학반응 같은 비생물적 반응으로 만들어진 것이고 나머지 90%를 생물적 ... ...
병원체에 대한 고찰
2015.06.22
되고 있다는 주장을 담고 있다. ‘Germ theory’를 세균이론으로 부르는 것도 올바른
번역
은 아니지만 사실 ‘germ’이라는 용어 자체가 부적절한 측면이 있다. 따라서 현대의학에서는 병원체라는 용어를 쓴다. 병원체는 세균뿐 아니라 병을 일으키는 모든 미생물(메르스의 경우 바이러스)과 심지어 ... ...
잃어버린 기억을 찾아서…
2015.06.08
“나는 정말 행운아” 위키피디아를 보니 도네가와 교수가 책도 두 권 냈던데 국내에
번역
되지는 않았다. 아쉬운 마음에 노벨재단 사이트에 있는 도네가와 교수의 자기소개서라도 읽어보기로 했다. 담담한 어조로 자신의 삶을 되돌아보는 3쪽짜리 짧은 글이었지만 많은 걸 생각하게 했다. 어떤 ... ...
이제 과학도 요리가 대세?
2015.03.30
소개하고 있다. 그런데 필자가 앞 문장에서 쓴 풍미와 맛 모두 영어 ‘flavor’의
번역
어로 넓은 뜻에서의 맛이다. 좁은 뜻, 즉 미각을 통한 맛은 ‘taste’다. 예를 들어 ‘매운맛은 맛이 아니다’라고 할 때 맛이 좁은 의미의 맛이다. 사실 일상에서 맛이라고 하면 좁은 의미의 맛보다는 넓은 의미의 ... ...
운동호르몬 ‘이리신’, 과학인가 신화인가?
2015.03.23
이동해 작용한다는 것. 그런데 논문은 사람의 이리신(엄밀히는FNDC5)의 유전자는
번역
개시 코돈이 ATG가 아니라 ATA라며 포문을 연다. 이런 비정규적인 개시 코돈으로도 작동하는 유전자가 있지만 이는 예외적인 현상이고 대부분은 기능이 있는 유전자에서 기능이 없는 유사유전자(pseudogene)으로 가는 ... ...
식품첨가물 유화제 알고보니…
2015.03.09
작가에게서 전화를 받았다. 모유에 대한 프로그램을 만들고 있는데 몇 달 전 필자가
번역
한 ‘가슴이야기’란 책을 보고 몇 가지 묻기 위해 연락을 한 것이다. 모유에 팝스(POPs, 잔류성유기화합물)가 포함되기 쉬운 이유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젖을 현미경으로 보면 작은 기름방울이 물에 분산돼 있는 ... ...
이전
48
49
50
51
52
53
54
55
5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