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식량
양식
음식
영양물
식료품
식료
음식물
d라이브러리
"
식품
"(으)로 총 1,482건 검색되었습니다.
사이버 마약의 진실
과학동아
l
2009년 04호
파일을 내려 받을 수 있는 곳을 공유한다.보건복지가족부는 3월 초 방송통신심의위원회,
식품
의약품안전청과 대책회의를 열고 아이도저 mp3 파일의 무해성이 판명될 때까지 파일이 유통되지 못하도록 판매 사이트의 국내 접속 차단을 검토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인터넷 포털에는 청소년이 ... ...
달콤쌉싸름한 초콜릿 대해부
어린이과학동아
l
2009년 04호
밥 한 공기 반 정도에 해당돼요. 게다가 지방도 많고 당분 함량도 높아 대표적인 비만
식품
으로 꼽히기도 하지요. 하지만 초콜릿의 지방에는 트랜스지방이 전혀 없고 폴리페놀이 지방 소화를 막기 때문에 꼭 비만의 주범이라고는 말할 수 없어요. 또 초콜릿에 들어 있는‘렙틴’이라는 물질이 식욕을 ... ...
키 크는 비법에 대한 오해
과학동아
l
2009년 03호
우유는 필수 아미노산과 여러 가지 비타민, 무기질을 포함해 성장을 촉진하는 완전
식품
의 대명사다. 키가 자라는 것은 뼈의 성장을 의미한다. 그렇다면 우유가 정말 뼈를 쭉쭉 늘이는 ‘키 크는 명약’일까. 일반적으로 우유가 칼슘을 많이 포함하기 때문에 성장기에 필수적인 음식이라고 생각하기 ... ...
심해저 깊은 맛 해양심층수의 비밀
과학동아
l
2009년 03호
있는 변명인 셈이다.해양온도차발전에서 찾아낸 ‘바닷속 보물’처음부터 해양심층수를
식품
이나 화장품에 활용하기 위해 개발했을까. 1970년대 미국과 일본은 표층수와 해양심층수 사이의 온도차이를 이용해 전기를 생산하는 ‘해양온도차발전’에 쓸 수 있다는 점에 착안했다. 해양온도차발전은 ... ...
봄철 생선의 대표 도다리
과학동아
l
2009년 03호
주의하자. 식혜(食醯)는 쌀을 발효시킨 전통음료이고, 식해(食.)는 생선을 발효시킨 염장
식품
이다. 만드는 원리에는 큰 차이가 없다. 쌀에 엿기름을 섞으면 쌀의 녹말이 당으로 바뀌며 단맛을 내는 식혜가 된다. 식해를 만들 때는 생선에 조밥, 소금, 고춧가루, 엿기름을 섞는데, 생선이 발효해서 생긴 ... ...
보이지 않는 전자파노이즈의 위협
과학동아
l
2009년 03호
연결된 헤드폰이 심장박동기에 오작동을 일으킬 수 있다는 연구결과를 발표했다.
식품
의약품안전청은 2007년 7월 인공심장박동기를 비롯한 10개 품목에 전자파내성(EMS) 시험을 의무화하기 시작했고 올해 1월에는 위험도가 낮은 일부 의료기기를 제외한 전 제품으로 전자파내성 시험을 확대했다. ... ...
오염 토양 살리는 ‘사회 속 과학자’
과학동아
l
2009년 03호
갱도의 벽과 바닥에서 오염물질이 나오지 않도록 코팅을 한 뒤 와인 저장고처럼
식품
의 숙성 시설로 활용할 수 있습니다. 사시사철 온도가 유지되는 천연 냉장고를 방치할 이유가 없다는 얘기입니다.”현대 사회가 당면한 공학적 문제에 폭넓은 시각으로 접근하는 박 교수의 태도는 ... ...
Vertical Farming
과학동아
l
2009년 03호
점을 데스포미어 교수 는 인정한다. 아마도 건축비와 에너지 비용들로 인해 수직재배
식품
은 전통적 농작물보다 더 비싸게 팔릴 것이다. 동영상으로 보는 과학 ① http://tinyurl.com/7pkgcw : 콜럼비아 대학 딕슨 데스포미어 교수가 수직재배 농법을 직접 설명하는 CNN 인터뷰 장면이다. ② http://tinyurl.com/cdvq ...
자이언트거북의 천국 알다브라
과학동아
l
2009년 03호
마리에 이르렀다. 오랜 시간 물과 먹이 없이도 살 수 있기 때문에 이 거북은 ‘저장
식품
’(!)으로 배에 실렸고 결국 지나친 남획으로 1880년대에 멸종될 위기를 맞았다. ‘종의 기원’ 출간 이후 저명한 과학자로 명성이 높았던 찰스 다윈은 비록 알다브라를 방문한 적은 없었지만 이런 긴박한 상황을 ... ...
복제기술이 꽃피우는 바이오혁명
과학동아
l
2009년 02호
식탁에 오를까“1월 6일 일본
식품
안전위원회가 복제소, 복제돼지의 고기가 일반 고기와
식품
안전성 면에서 차이가 없다는 결론을 내렸다는군요.”경기도 수원에 있는 축산과학원 양병철 박사는 복제소를 취재하러 왔다는 기자를 반갑게 맞았다. 올해는 축산과학원이 복제한우 ‘새빛’을 선보인 ... ...
이전
70
71
72
73
74
75
76
77
7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