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곡류"(으)로 총 67건 검색되었습니다.
- [파고 캐고 지질학자] 연못 옆 동굴, 누가 깎았을까?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20호
- 특히 경사가 심하지 않은 곳을 흐르는 하천은 구불구불한 형태로 흐르는데, 이를 ‘감입곡류 하천’이라고 합니다. 하천을 따라 흐르는 물은 굽어진 부분의 바깥쪽을 빠르게 흐르며 침식작용을 일으켜요. 반대로 안쪽에서는 물이 느리게 흐르며 모래나 흙을 쌓는 퇴적작용을 일으키지요. 그 결과, ... ...
- [기획] 여름에 더 강해지는 악취!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5호
- 우선 주변 공동주택 쓰레기장에서 음식물 쓰레기를 수집했어요. 이후 직접 채소류, 곡류, 생선과 고기류, 과일류의 비율을 조사해 분류했고, 1L 크기의 밀폐 용기에 담았습니다. 그리고 35℃ 환경에서 4일 동안 부패시키며, 12시간 간격으로 밀폐 용기 안에 생기는 악취를 따로 뽑아 성분을 분석했어요 ... ...
- [기획] 나는 건강할까?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3호
- 등으로 구분돼요. 6가지 식품군을 매일 필요한 만큼 먹어야 해요. 2000kcal를 기준으로 곡류는 하루에 3회, 고기·생선·달걀·콩류는 3.5회, 채소류는 7회, 과일류는 2회, 우유·유제품류는 2회, 유지·당류는 6회 섭취해야 해요.가톨릭대학교 서울성모병원 노민영 임상영양사는 “열량은 낮고 영양이 ... ...
- [이달의 과학사] 1895년 5월 31일 켈로그 형제의 콘플레이크 발명!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0호
- 식사 대용으로 간단하게 먹을 수 있는 시리얼! 시리얼은 곡류를 가공해서 바로 먹을 수 있도록 만든 음식으로, 최초의 모습은 지금과 달랐어요. 1863년 나온 ‘그래뉼라’는 가루로 빻은 곡물 반죽을 구워서 굳힌 형태였는데, 아침으로 먹으려면 전날 밤부터 물에 불려야 했죠.시리얼을 대표하는 ... ...
- 곡물 고기는 진짜 고기 맛 날까?과학동아 l2020년 01호
- 특히 오랫동안 대체육류의 대명사로 불리던 콩고기를 넘어 콩의 단백질을 없애고 오직 곡류로만 만든 곡물고기가 국내 기술로 출시됐습니다. 줄기세포 배양육은 여전히 연구 단계여서 아직 상용화되지 않은 만큼 당분간은 콩고기와 곡물고기의 이파전이 예상됩니다. 1. 진짜 고기와 맛이 ... ...
- 과학마녀 일리의 과학용어 따라잡기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6호
- 물질과 성질이 다른 별개의 물질을 가리키는 말. (도전! 섭섭박사 참조)④ 보리, 밀 등의 곡류에 존재하는 불용성 단백질. 밀가루 반죽에 넣으면 탱글탱글하고 차진 식감을 느낄 수 있다. (요리스타 청 참조) ●세로천체 등의 광원이 내는 빛의 파장이 긴 쪽으로 밀리는 현상. 가시광선 영역에서는 ... ...
- [비주얼 과학교과서] 비밀 족보의 정체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3호
- 했지만, 11개월 동안 정복당하지 않고 저항할 정도로 천하의 요새였답니다.몇 번의 곡류를 지난 아이들은 강물에 홀딱 젖고 말았어요.“곧 삼각주에 도착한단다. 거기서 너희 교장 선생님을 만나기로 했으니 잠시만 참으렴.”고무보트가 일곱 번을 더 통통 튀며 앞으로 나가자, 삼각주와 그 뒤로 ... ...
- [Future] 새롭게 주목 받는 ‘환경 곤충’, 플라스틱 먹는 애벌레과학동아 l2017년 06호
- 애벌레가 비닐로 포장된 제품의 겉면을 갉아먹고 내부로 들어가 문제가 되기도 한다. 곡류를 먹고 자라는 화랑곡나방 애벌레와 성충은 쌀벌레로 불리기도 하며, 우리나라 가정집에서도 쉽게 발견할 수 있다. 갈색거저리는 밀웜이라고도 한다. 반려동물의 먹이나 차세대 곤충 식량의 재료로 ... ...
- [Issue] 전통 막걸리, ‘ 미생물 배합’으로 부활할까과학동아 l2017년 04호
- 포장된, 꼭 시멘트처럼 보이는 물질을 보여주며 말했다. 누룩은 쌀, 밀, 보리와 같은 곡류를 물과 섞어 반죽한 뒤 굳힌 것이다(제조법에 따라 약간씩은 다르다). 이 누룩을 적정한 온도와 습도에서 발효시킨 게 막걸리다.이제껏 한 번도 누룩을 본 적이 없는 기자는 막연히 메주 같이 생기고 냄새도 ... ...
- 물이 변하면 지구도 변한다?! 울퉁불퉁 지형의 비밀!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23호
- 얕아지게 된답니다. 그래서 곡류의 바닥은 비스듬한 형태예요. 한편 곡류가 더 심해지면 곡류였던 부분이 떨어져 쇠뿔 모양의 호수가 돼요. 이것을 ‘우각호’라고 한답니다 ... ...
1234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