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미각"(으)로 총 172건 검색되었습니다.
- [DBR]“바삭바삭~” 이 소리가 프링글스의 크기를 정했다동아일보 l2018.09.12
- 디자인한 사례 중 하나다. 감각 디자인은 제품의 우수성을 시각, 청각, 후각, 촉각, 미각 등 오감의 특성을 반영해 감각적으로 풀어내는 작업을 의미한다. 오늘날 감각 디자인이 중요한 이유는 무엇일까. 아무리 우수한 제품을 만들더라도 소비자가 감각적으로 품질의 우수성을 체험하지 못하면 아무 ... ...
- ‘치믈리에’ 자격증 도전기…치킨의 미래는 과학에 있습니다 과학동아 l2018.09.08
- 119명을 포함해 현재 국내에는 치믈리에 자격증 소지자가 166명이 됐다. 전문가들은 미각이 훈련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고 말한다. 류 책임연구원은 “소믈리에처럼 맛을 감별하는 데 필요한 능력은 선천적으로 타고나는 것이 아니라 훈련을 통해 축적되는 것”이라며 “맛에 관심을 갖고 이에 관한 ... ...
- 200년만의 환생, 프랑켄슈타인...내 목소리가 들리나요과학동아 l2018.08.01
- 다시는 음식 투정 못 할 것이다. GIB제공 ● 사람보다 1만 배 민감한 ‘전자혀’ 후각과 미각은 시각, 청각, 촉각과 달리 화학적이다. 즉 화학분자들을 인지한다. 이를 위해 코와 혀에는 냄새 분자와 맛 분자를 인식하는 수용체가 있다. 냄새와 맛 분자가 수용체단백질과 결합하면 세포 안으로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정자에 왜 후각수용체가 있을까?2018.07.31
- chemoreceptor)’라는 일반적인 용어가 적절하다는 언급도 나온다. 참고로 후각과 미각처럼 분자가 직접 수용체에 달라붙어 신호를 전달하는 감각을 화학감각(chemical sense)이라고 부른다. 후각수용체 유전자가 코 이외의 장기에서도 발현된다는 사실이 처음 보고된 건 후각수용체 유전자 무리가 발견된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코알라는 어떻게 유칼립투스 잎만 먹고 살까 2018.07.17
- 수단으로 하여 인간의 보존에 주의하는 것”이라고 쓰고 있다. 다양한 맛을 경험하고 미각을 세련되게 만드는 것이 결국 건강에도 도움이 된다는 말이다. ※ 필자소개 강석기 과학칼럼니스트 (kangsukki@gmail.com) LG생활건강연구소에서 연구원으로 근무했으며, 2000년부터 2012년까지 ... ...
- 봄은 고양이로다…고양이 연구들 ①2018.05.03
- 필요가 있다 - 사진 pixabay 제공 맛이 어떠냐옹? 고양이는 강아지에 비해 미각이 더 예민한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요. 달달한 아이스크림을 먹거나 솜사탕, 마시멜로우를 맛보는 고양이의 이미지는 우리에게 친근합니다. 하지만 실제로 개나 생쥐는 단맛을 느끼지만 고양이는 단맛을 느끼지 ... ...
- 매, 매, 매운맛을 주세요과학동아 l2018.04.19
- 매운맛을 쓰는 셈이다. 맛은 과학적으로 ‘맛 분자가 혀에 있는 맛봉오리에 붙어 미각수용체를 자극한 뒤 신경계를 통해 대뇌에 맛 정보를 전달하는 과정’으로 정의한다. 그래서 단맛과 짠맛, 신맛, 쓴맛, 감칠맛 등 다섯 가지만 맛으로 인정받는다. 이와 달리 매운맛 분자는 혀에서 온도나 ... ...
- 놀라운 바퀴의 생존 비결, 유전자에 있었네동아사이언스 l2018.03.21
- 154개). 미각수용체 유전자 역시 522개로, 지금까지 보고된 곤충 가운데 가장 많았다. 미각수용체 가운데 약 63%(329개)는 쓴맛을 느끼는 수용체로 추정됐다. 연구팀은 부패한 음식이나, 식물이 방어를 위해 방출하는 물질로부터 스스로를 보호할 수 있도록 방어 시스템을 갖춘 것으로 해석했다. 미국 ... ...
- 음식 심리학자와 평양냉면을 먹으러 갔더니…동아사이언스 l2018.03.01
- 잔을 조명에 비춰 보이고 있다. 감각 실험 심리학자인 그는 조명, 소리 등 외적인 요인이 미각 이상으로 맛에 영향을 미친다고 주장한다. -사진 제공 윤신영 기자 함부로 시도해서는 안 되는 일이 세상에는 많지만, 음식에 정통한 감각 심리학자와 평양냉면집에 가는 일이 그중 하나일 줄은 몰랐다. ... ...
- [도전! 섭섭박사 실험실] 우주식량을 만들어라!어린이과학동아 l2018.02.15
- 잘 느끼지 못해요. 왜냐하면 중력이 없는 우주에서는 몸속 혈액이 머리 쪽으로 쏠리면서 미각과 후각을 포함한 감각이 둔해지기 때문이지요. 그래서 우주에서는 지구보다 음식이 더 자극적이어야만 원래의 맛을 느낄 수 있답니다. 어린이 과학동아 4호 제공 당첨된 친구들은 담당기자의 이메일(bios ... ...
이전891011121314151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