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가루사탕
사탕
각설탕
사탕가루
d라이브러리
"
설탕
"(으)로 총 370건 검색되었습니다.
훈련받는 바퀴벌레
어린이과학동아
l
200720
넣어 바퀴벌레에게 계속 주었어요. 바퀴벌레는 박하향을 좋아하진 않았지만 그래도
설탕
물을 먹기 위해 모였죠. 훈련이 계속 되자 바퀴벌레는 박하향을 더 좋아하게 됐대요. 과학자들은 밤에 훈련을 받은 바퀴벌레가 아침에 훈련을 받은 것보다 더 오래기억을 간직한다는 것도 알아 냈답니다 ... ...
명예기자가 과학을 말로 재미있게 잘!
어린이과학동아
l
200718
우리가 먹는 거의 모든 과일에는 단맛을 내는 과당이 들어 있다. 우리가 흔히 먹는
설탕
의 단맛을 100이라고 하면 과당은 115〜117정도로 더 달다. 과당은 온도에 따라 형태가 바뀌는데 차가울수록 더 단 형태로 바뀐다고 한다. 찬 과일이 더 달다고 해서 너무 차갑게 하면 오히려 혀의 감각이 둔해져 ... ...
시골 곰개미의 도시 탐색기 내 친구를 찾아서
어린이과학동아
l
200714
방법부터 살펴보자.함정 설치하기준비물 : 비닐컵, 꽃삽, 식초, 알코올, 흑
설탕
방법❶ 흑
설탕
물을 끓여 식힌 뒤 식초와 알코올을 각각 1~2방울씩 떨어뜨려 당밀을 만든다.❷ 삽으로 비닐컵 높이만큼 땅을 파고 비닐컵을 묻는다.❸ 당밀을 비닐컵의 4분의 1 정도 되도록 넣는다.❹ 2~3일이 지난 뒤 다시 ... ...
여름의 적을 이기자!
어린이과학동아
l
200713
음식을 많이 먹으면 배탈이 나기 쉬우니 주의하세요. 또 아이스크림이나 청량음료는
설탕
이 많이 들어 있어 살이 찌기 쉬워요. 신선한 야채와 과일로 수분은 물론 비타민도 채워 주는 것이 건강에 좋답니다.차가운 음식을 갑자기 먹으면 머리가 띵~해질 때가 있죠? 아직 명확한 원인이 밝혀진 것은 ... ...
'특별한 가족'을 맞이한 국제우주정거장
과학동아
l
200712
놓은 것이 솜사탕이라는 하나의 덩어리를 구성하고 있다 마찬가지로 곰팡이의 몸체도
설탕
에서 뽑은 실이 솜사탕을 구성하듯, 곰팡이의 실, 즉 균사가 곰팡이의 몸체를 구성하는 것이다 이 균사는 여러 개의 핵을 가지지만 클로로필이 전혀 없어 광합성을 하지 못하고 기생하면서 영양분을 ... ...
무인비행기 '제퍼'(Zephyr) 최장시간 비행기록 달성
과학동아
l
200710
머신이 최초의 수치제어공작기계인데, 현재는 각종 공작기계가 수치 제어화되어 있다
설탕
·자당(蔗糖)·첨채당(甛菜糖)·사카로오스라고도 한다 분자량은 34230이며 구조상으로도 알 수 있듯이 효소적으로는 a-D-글루코시다아제(수크로오스 a-D-글루코히드라아제) 및 R-D-프룩토푸라시노다아제 ... ...
파나마 운하 확장공사
과학동아
l
200710
메틸 에스테르이다 아미노산계 식품으로 단맛이
설탕
의 180배, 당뇨병 환자에게
설탕
대용으로 사용된다 L-아스파라긴(asparagin)산과 L-페닐알라닌(phenylalanin)이 결합된 펩티트 (peptide)이며 필수아미노산의 하나로 미국의 의약품 제조업체인 G D 설사(社)가 개발했다 한국에서는 1984년에 일본에 이어 ... ...
PART2 양자역학과 상대론 검증하는 우주실험실
과학동아
l
200709
초신성 폭발을 일으킬 수 있다는 내용이다. 하지만 내부밀도가 서울의 모든 건물을 각
설탕
하나의 부피에 압축한 정도에 해당하는 중성자별의 존재는 쉽게 인정받지 못했다.물론 1967년 펄서가 발견되면서 상황은 바뀌었다. 펄서가 빠르게 회전하는 중성자별이란 사실이 밝혀졌기 때문이다. ... ...
뮤지컬 CATS로 본 고양이 생활백서
과학동아
l
200709
때 달콤한 시럽을 섞어주면 잘 먹는 반면 고양이는 별 반응을 보이지 않는다. 최근에는
설탕
으로 범벅이 된 곡물 사료 때문에 비만이나 당뇨병에 걸리는 고양이가 늘고 있다.물을 싫어하는 이유 제2막이 열리며 극장 고양이 거스가 등장한다. 지금은 늙고 병들었지만 왕년에 유명한 배우였던 그는 ... ...
화학반응 고삐'미니 숯'으로 잡는다
과학동아
l
200707
있었다. 탄소를 얻기 위해 불을 지피는 족족
설탕
물이 끓어 넘쳤다.고심하던 유 교수는
설탕
에 황산을 넣어 보기로 했다. 황산은 탄수화물에서 수분을 빨아들이는 성질이 있다는 점에 착안한 것. 예상은 적중했다. “아주 깔끔한 나노 다공성 탄소물질을 얻을 수 있었습니다. 원리는 ‘콜럼버스의 ... ...
이전
13
14
15
16
17
18
19
20
2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