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음식
영양물
양식
식량
식료품
식사
식품
뉴스
"
음식물
"(으)로 총 375건 검색되었습니다.
이제 과학도 요리가 대세?
2015.03.30
소개하고 있다. 촉각과 청각까지는 몰라도 시각은 풍미에 영향을 줄 수 없을 것 같다.
음식물
을 씹고 있는 입안을 ‘볼 수’는 없기 때문이다. 그러나 입에 넣기 전에 본 음식의 모습이 풍미에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예를 들어 체리향이 나는 무색투명한 음료를 만든 뒤 녹색 색소를 타면 ... ...
‘제물포(쟤 땜에 물리 포기)’ ‘수포자(수학포기자)’라면 여기 한 번…
2015.03.08
저자는 탄소를 “원소의 절대 왕자”라고 부른다. 책의 1부는 인류 생명의 근원인
음식물
속 탄소를 다룬다. 농경사회가 시작되면서 발견한 녹말부터, 설탕 그리고 최근 ‘감칠맛 논쟁’을 일으킨 MSG(L-글루타미산나트륨) 등 인간의 생명을 지탱한 탄소 물질들을 다룬다. 2부는 필수적이지 않은 듯 ... ...
방사능 오염 토양에서 건강하게 식물 자랄 수 있다
2015.03.05
동식물의 필수 영양소인 칼륨과 성질이 비슷해 물에 잘 녹아 식물에 쉽게 흡수된다.
음식물
을 오염시켜 결국 식탁에까지 오를 확률도 높다. 신 박사팀은 식물연구 모델로 자주 쓰이는 애기장대 묘목을 갖고 약 1만 여 개의 합성물질을 만들어 일일이 실험한 결과, 가장 효과가 높은 물질을 ... ...
내일까지 전국에 황사…밖에서
음식물
섭취 말아야
동아닷컴
l
2015.02.23
부득이 밖으로 나가야 한다면 황사용 마스크나 방역용 마스크를 착용하고 밖에서는
음식물
섭취를 삼가야 한다. 황사용이나 방역용 마스크를 살 때는 반드시 제품에 ‘황사용’이라는 단어나 마스크 성능규격을 표시한 ‘KF지수’(황사용 마스크는 KF80, 방역용 마스크는 KF94 또는 KF99) 표시가 있는지 ... ...
숙녀의 변비약은 어떻게 탄생했나
2015.02.22
할 요량으로 홍자색 빛깔을 내는 페놀프탈레인을 첨가한 것. 이전까지 페놀프탈레인을
음식물
첨가제로 사용한 사례가 없었고, 그 결과도 알려져 있지 않았다. 결과는 끔찍했다. 거의 모든 헝가리인이 지독한 설사를 하게 된 것이다. 미국 브루클린에 거주하던 헝가리인 막스 키스는 이에 대한 ... ...
펭귄은 ‘쓴·단·감’ 못 느끼는 ‘미맹(味盲)’
2015.02.17
조류와 달리 유독 펭귄의 혀에는 맛을 느끼는 감각기관이 거의 남아있지 않다”며 “
음식물
을 씹지 않고 통째로 삼키는 식습관도 펭귄이 미맹이 되도록 가속화한 원인일 것”이라고 덧붙였다. 연구결과는 학술지 ‘셀’의 자매지 ‘커런트 바이올로지’ 16일자에 발표됐다. 닭을 포함한 ... ...
암은 여전히 은유로서의 질병인가
2015.02.16
환경 요인과 유전 요인이 정말 그렇다면 이렇게 편차가 클 리가 없다는 것. 예를 들어
음식물
에 포함된 발암물질(환경 요인)이 소화기 암을 일으킨다면 장기에 따라 암 발생률이 최대 24배나 차이가 나는 걸 설명하기 어렵다고. 음식이 지나가는 소화기관 순서대로 보면 일생동안 걸릴 위험성이 ... ...
해외여행 주의할 질병, 매년 300명 이상 감염돼 입국...1위 감염병은?
동아닷컴
l
2015.02.16
노로바이러스 감염증 집단발생 사례가 지속적으로 보고되고 있고, 설 연휴 기간에는
음식물
공동섭취를 통한 수인성과 식품 매개질환 집단발생이 우려된다. 국외 체류 중에 감염된 국외유입 감염병 사례도 2010년 이후 매년 300명 이상 보고되고 있다. 지난해는 주로 뎅기열(43%), 말라리아(19%), ... ...
아이 러브 ♥ 고기
2015.01.28
채식 위주의 식생활을 했을 것입니다. 큰 어금니와 깊숙한 턱뼈를 보면 많은 양의
음식물
을 수없이 많이 씹어 먹었음을 짐작할 수 있습니다. 육식보다는 채식을 주로 했다는 뜻입니다. 똑같은 양의 열량을 얻어내기 위해서 고기는 조금만 먹어도 되지만 채소는 많이 먹어야 하기 때문입니다. 또, ... ...
타는 목마름으로…갈증 조절하는 뇌세포 발견
2015.01.27
물을 찾지 않았으며 물 섭취량을 80%까지 억제할 수 있었다. VGAT를 자극하는 것은 다른
음식물
을 섭취하는 것에는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주커 교수는 “뇌활밑기관은 혈액뇌장벽이라는 부위 바깥에 위치해서 인체의 수분 상태를 즉각적으로 인식할 수 있다”며 “이를 인식한 CAMK11와 VGAT ... ...
이전
29
30
31
32
33
34
35
36
3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