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음식"(으)로 총 2,581건 검색되었습니다.
- 두 번째 요리 모두에게 공평하게, 국수와 만유인력수학동아 l2015년 02호
- 잔칫날이나 돼야 먹을 수 있다는 뜻에서 나왔습니다. 이런 국수가 오늘날처럼 대중음식이 된 이유는 기계에 있습니다. 국수 뽑는 기계가 만들어지면서 누구나 싼 값에 국수를 즐길 수 있게 됐죠. 수학이라는 도구를 만나서 보편적인 법칙으로 거듭난 만유인력과 닮지 않았나요? 날씨가 제법 쌀쌀한 ... ...
- [Life & Tech] 단식 반복하면 음식 중독 된다과학동아 l2015년 01호
- 습관을 바꿔야 한다. 고칼로리 음식을 감정의 도피처로 삼는 사람들이 많은데, 음식이 줄 수 있는 보상의 한계를 명확히 깨달아야한다는 뜻이다. 올겨울에는 자신의 감정을 잘 살피고, 감정을 다스리는 다른 방법을 찾아보자. 친구든 취미든 ... ...
- [Knowledge] 우주 면역력, 비타민이 필수과학동아 l2015년 01호
- 내려 보낼 수 있어. 하지만 아무래도 효율이 떨어지지. 그래서 우주에선 꼭 누운 상태로 음식을 먹는 것처럼 소화가 잘 안 되는 거야. 아! 소장과 대장에서는 반대야. 장은 소화물을 아래로만 내려 보내는 게 아니라, 형태에 따라 다시 위쪽으로 올리기도 하지. 그런데 중력이 없는 상황에선 이 운동이 ... ...
- [교과연계수업] 도시에는 왜 고양이가 많을까? 도시생태계의 비밀!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1호
- 영역에서 계속 번식해 사람들이 ‘코숏’이라고 부르는 길고양이로 변했지. 길고양이는 음식물 쓰레기만 먹고도 충분히 영양을 섭취할 수 있어. 육식동물이라서 꼭 신선한 풀을 먹어야 되는 건 아니거든. 게다가 하루에 16~20시간 자고, 짧은시간 동안만 활동하며 적은 양의 먹이를 먹기 때문에 밥을 ... ...
- Part 4. 쓰레기가 동물을 먹여살린다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1호
- 원래 잡식성인데다, 하루에 2kg 이상의 먹이를 먹어치울 정도로 먹성이 좋아. 그래서 음식물 쓰레기를 비롯해 사람의 토사물이나 다른 동물의 배설물까지 마구 먹어 치우며 도시 생활에 완전히 적응했지. 게다가 도시에는 비둘기의 천적인 매가 없거든. 또 원래 벼랑에 집을 짓고 사는 습성이 있기 ... ...
- Intro. 도시생태계의 비밀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1호
- 우리집에는 골칫덩어리가 하나 있어. 집과 밖을 오가는 자유로운 외출고양이 ‘우롱’이가 바로 그 주인공이야.한겨울이라 외출도 금지했건만, 일주일에 한 두 번씩은 몰래 도망쳐서 놀다 오는 거 있지? 아닌 척 시침을 떼지만 새카맣게 변한 발바닥이 그 증거라고!유난히 잠이 오지 않던 밤, 뒤척 ... ...
- Part 2. 도시에선 고양이가 최고 포식자!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1호
- 있단다. ‘호랑이 없는 굴’에서 왕초 노릇을 하는 셈이야. 도시의 길고양이는 짠 음식물 쓰레기를 많이 먹는데다가신선한 물을 마시기 어려워 신장병에 자주 걸린다.이 때문에 수명이 2~3년 정도로 짧다. 고양이가 많이 불어난 이유는 고양이의 생태적 특성과도 관련 있어. 고양이는 발정기 때만 ... ...
- 귀여움이 생존전략인 이유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1호
- 뇌에 주는 자극에서 찾을 수 있어요. 우리 두뇌에는 ‘쾌락중추’가 있어요. 맛있는 음식을 먹거나, 재밌는 게임을 하면 이 쾌락중추가 자극을 받아요. 쾌락중추가 자극을 받으면 우리는 기쁨을 느끼고, 기쁨을 느낄 수 있는 일을 계속 하려고 해요. 특히 뇌는 생존에 필요한 행동을 할 때 쾌락중추를 ... ...
- [지식] 첫 번째 요리_영양 가득 오일러 공식수학동아 l2015년 01호
- 식탁에 가장 먼저 올릴 공식을 정하기란 쉽지 않았습니다. 고심 끝에 선택한 첫 번째 음식은 바로 ‘오일러 공식’입니다. 1988년 미국의 수학잡지 ‘매스매티컬 인텔리전서’는 흥미로운 설문조사를 시작했습니다. 독자들에게 유명한 수학공식 24개를 주고 가장 아름다운 공식을 고르라고 한 거죠. ... ...
- [Knowledge] 매혹의 공생 생물, 지의류의 ‘버티는 삶’과학동아 l2015년 01호
- 속하는 지의류다. 만나는 구약성서 출애굽기에 ‘여호와가 주신 양식’으로 묘사되는 음식이다. 접시지의(Lecanorales)과 지의의 일종이 만나의 실제 후보로 유력한데, 이 지의는 수분을 몸 안에 품으면 빵처럼 변한다. 이란과 아프리카 동북부에 주로 분포하고 있어, 모세와 이스라엘 민족의 이집트 ... ...
이전87888990919293949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