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영양분
양분
자양
일런드
미혼 여성
아가씨
따님
d라이브러리
"
영양
"(으)로 총 2,068건 검색되었습니다.
식물 속 천연색소를 찾아라
과학동아
l
2010년 10호
무엇일까. 그것은 녹색으로 보이게 하는 엽록소가 훨씬 더 많기 때문이다. 광합성을 통해
영양
분을 만들어내는 엽록체, 그리고 그 속에 있는 빛의 수용체인 엽록소는 식물이 광합성을 하는 한 당연히 많이 존재할 수밖에 없다.울긋불긋 단풍의 비밀가을이 되면 빛의 양이 줄어들고 기온이 낮아진다. ... ...
[생물] 생물과 환경의 관계
과학동아
l
2010년 10호
영양
염류의 양이 환경적 제한 요소로 작용한다는 것을 예상할 수 있다. 하지만 가을 이후
영양
염류의 양이 급증하는 것은 돌말 개체수가 여전히 부족하다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이는 겨울에는 수온과 빛의 세기가 제한 요소로 작용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다음의 그래프를 예상할 수 있다. 2. ... ...
쫄깃쫄깃 타피오카의 비밀
과학동아
l
2010년 09호
밥으로 먹었다. 칼로리가 낮고 비타민과 미네랄이 풍부해 최근 국내에서도 다이어트
영양
식으로 뜨고 있다.카사바 덩이뿌리는 껍질을 벗겨 곱게 빻아 물에 넣으면 건더기가 가라앉는다. 건더기를 건져내 말리면 타피오카가 된다. 건더기가 마르기 전에 베로 짠 주머니에 넣어 흔들면 크기가 3~5mm인 ... ...
생명의 타임캡슐 씨앗
과학동아
l
2010년 09호
충분히 내리기 전에는 토양에서
영양
공급이 제대로 안 됩니다. 따라서 씨앗 속에 저장된
영양
분으로 자리를 잡아야했지요. 반면 반(半)기생생활을 하는 난초류는 숙주를 만나야 하므로 씨를 극도로 작게해 개수를 늘린 셈이죠. 가장 작은 난초 씨앗의 경우 1g에 200만 개가 넘으니까요.사소한 일에 ... ...
바닷가재와 문어, 누가 더 많을까
과학동아
l
2010년 09호
사실을 그 이유로 든다. 이 박사는 “심해저는 햇빛이 미치지 않는데도 1차 생산자가
영양
분을 생산하고 있고, 해양 지각판 틈 사이로 뜨거운 물이 나오는 심해열수부에는 특이한 환경 탓에 독자적인 생태계가 마련됐을 것으로 보인다”며 “이들 지역에 대한 탐사가 이뤄진다면 해양생물종은 훨씬 ... ...
1992년 사무엘 웨이스 박사의 성체 신경세포 생성 발견
과학동아
l
2010년 09호
속의 태아 뇌세포가 분열해 신경세포와 교세포(신경계에서 신경세포를 지지하고
영양
을 공급하는 세포)로 분화하게 했다.혹시나 해본 실험이 성공해EGF는 조직배양시 세포가 생존을 유지하고 분열할 수 있게 해주는 물질로 쓰였기 때문에 그리 놀라운 결과는 아니었다. 태아의 뇌에는 신경세포와 ... ...
[생물] 생물다양성과 우리 삶
과학동아
l
2010년 09호
통해 탄수화물을 만들고 또 에너지를 사용해 단백질이나 핵산을 만든다. 소비자는 종속
영양
생물로서 생산자가 만든 산물을 소비해 살아간다. 소비구조는 생산자를 섭취하는 1차 소비자, 1차 소비자를 포식하는 2차 소비자와 같이 단계적으로 올라간다.이렇게 포식자와 피식자의 관계를 단계로 ... ...
[cool tech] 내 방 안의 아쿠아리움
과학동아
l
2010년 08호
식물이 만들어 낸 산소를 이용해 분해 작용을 한다. 이렇게 만들어진 질산염은 식물의
영양
분으로 쓰이거나 혐기성 박테리아에 의해 질소로 바뀌어 공기 중으로 날아간다. 하지만 수조 안에서는 질산염이 완전히 없어지지 않기 때문에 정기적으로 물의 일부를 깨끗한 물로 갈아 질산염을 빼내야 ... ...
나노기술이 여는 식도락 세계
과학동아
l
2010년 07호
꺼림칙한 나노입자에만 국한되지 않는다. 우리 몸에 좋다는 비타민이나 미네랄 같은
영양
성분도 나노입자가 되면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 이들 나노성분이 혈관으로 갑작스럽게 들어갈 경우 약물 과다 복용을 일으킬 가능성이 높아진다.현재 한국을 비롯해 나노기술 선진국인 미국도 이에 대한 ... ...
PART 2 독특한 곤충의 생애, 주기
수학동아
l
2010년 07호
처음부터 17년 동안 살았던 것은 아니다. 매미는 땅 속에서 일정 기간을 지내면서 충분한
영양
소를 섭취한 뒤 땅 위로 올라온다. 여기서 매미가 잘 성장하기 위해 영향을 주는 요인은 온도다. 그런데 혹독한 추위의 빙하기를 거치면서 매미는 더 오랜 기간 땅 속에서 머물게 되었다. 6~9년 만에 ... ...
이전
89
90
91
92
93
94
95
96
9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