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풍미
향미
미각
향기
정취
경험
뉴스
"
맛
"(으)로 총 948건 검색되었습니다.
[박진영의 사회심리학]누군가 내 분노의 버튼을 누른다면
2021.06.12
신뢰할만한지(상대가 등쳐먹고 튀는 일이 발생하지는 않을지)에 늘 주의를 기울인다.
맛
없는 콩 한쪽이라도 나눠먹지 않고 혼자 다 먹는 이기적인 사람을 보면 많은 사람들이 경기를 일으키는 것 또한 같은 맥락이다. 콩 자체는 전혀 중요하지 않지만 작은 이기적인 행동이 서로 윈윈하는 관계로서의 ... ...
달콤하고 빨간 현대 수박의 조상은 아프리카 수단 ‘코도판 멜론’
동아사이언스
l
2021.05.26
멜론이 진화 과정에서 쓴
맛
에 관여하는 유전자를 잃어버렸고, 그 결과 지금 수박처럼 단
맛
을 갖게 됐다고 설명했다. 또 400개 이상의 대립 유전자를 조사한 결과 코도판 멜론의 속살이 흰색인 이유에 대해 빨간색을 결정하는 유전자는 당 함량을 결정하는 유전자와 짝을 이루며, 시간이 지나면서 ... ...
복숭아 신선도 판별하는 ‘전자코’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1.05.24
제철인 복숭아. 향과
맛
이 좋아 인기가 많지만, 잘 무르는 특성이 있어 보관이 어렵다. 동아일보DB 제공 국내 연구진이 냄새만으로 과일 신선도를 판별할 수 있는 휴대용 전자코 시스템을 개발했다. 부산대는 오진우 나노과학기술대학 나노에너지공학과 교수 연구팀과 한동욱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탄수화물이 정말 비만의 주범일까
2021.05.18
요리사 실력이 좋았는지 참가자들은 고탄저지 식단과 저탄고지 식단 모두에 만족했다.
맛
이 없어서 고탄저지 음식을 덜 먹은 게 아니라는 말이다. 그렇다면 왜 고탄저지에서는 칼로리 섭취량이 적어도 포만감을 느끼게 될까. 이에 대해 저자들은 잘 모른다면서도 에너지 밀도를 한 요인으로 ... ...
호저와 싸운 두 마리 개의 최후
팝뉴스
l
2021.05.18
보인다. 호저는 가시털이 온몸에 뾰적한 가시털이 있는 동물이다. 적에게 ‘따끔한’
맛
을 보여서 퇴치하는 것이 호저의 생존 비법이다. 개는 당장 병원으로 가지 않으면 안될 상태다. 그런데 호저는 어떻게 되었을까. 해외 네티즌들은 궁금하다. ※ 편집자주 세상에는 매일 신기하고 ... ...
[잠깐과학] 간편 아침 식사 '시리얼'은 원래 환자식이었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1.05.15
켈로그뿐만이 아니었다. 요양원에 와 있던 사업가 찰스 윌리엄 포스트가 이 시리얼의
맛
에 반해 먼저 회사를 차려 성공을 거뒀다. 슈퍼에서 볼 수 있는 시리얼 계의 양대 산맥, ‘켈로그’와 ‘포스트’의 출발점이 바로 배틀 크릭 요양원이었던 것이다. 환자식이었던 콘플레이크는 이후 바쁜 ... ...
우주에서 1년 숙성된 와인, 경매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5.05
테스트를 진행했다. 시음회에 참가한 와인 작가 제인 앤슨은 와인을
맛
본 후 “색상, 향,
맛
에 차이가 있었다”며 “지구에서 숙성된 와인보다 좀 더 오래 숙성된 느낌을 받았다”고 말했다. 샤토 페트뤼스 2000은 보통 6000달러(약 675만 원)에 판매되지만 크리스티 측은 우주에서 숙성된 샤토 ... ...
[주말N수학]확률형 아이템의 득템 어려운 이유 간략 정리
수학동아
l
2021.05.02
친구들과 땅을 사고팔며 최고의 부자가 되는 인생의 단
맛
과 한순간 바닥으로 추락하는 쓴
맛
을 알게 해준 추억의 보드게임 ‘부루마블’의 모바일 버전 게임입니다. 그런데 언제부터인가 계속 지기만 하는 사람들이 나타났습니다. 그 이유는 좋은 아이템으로 무장한 유저들 때문이었습니다. ... ...
맛
의 비법 알려주는 AI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4.29
식재료 속 성분을 학습하고 조합을 구성해 새 레시피를 창조하는 인공지능(AI)이 개발됐다. 소니 제공 식재료 속 성분을 학습하고 조합을 구성해 새로운 음식 레시피를 창조하는 인공지능(AI)이 개발됐다. 강재우 고려대 컴퓨터학과 교수 연구팀은 일본 전자회사 소니의 자회사 ‘소니 AI’와 공동 ... ...
163일만에 귀환길 오르는 '크루-1' 참가자들, 우주에 머물며 어떤 실험했나
동아사이언스
l
2021.04.27
토양의 영향 등의 재배 조건을 이해해야 한다. 이 연구는 우주에서 재배한 식물의 영양과
맛
평가뿐 아니라 우주 환경에서 식물의 성장을 최적화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홉킨스는 글로버와 함께 단백질 결정을 만드는 실험도 진행했다. 인체에는 10만 가지가 넘는 단백질이 있다. 이 때문에 ... ...
이전
20
21
22
23
24
25
26
27
2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