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초
물통
초제
d라이브러리
"
식초
"(으)로 총 132건 검색되었습니다.
닭뼈가 고무줄처럼 말랑말랑
과학동아
l
1993년 05호
달걀로 비슷한 실험을 할 수 있어요. 달걀 껍질은 주로 칼슘 화합물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식초
에 담가 두면 달걀도 역시 물렁물렁하게 되죠. 달걀껍질은 완전히 녹고 단지 달걀을 지탱해주는 얇은 막만이 남게 될 거예요. 국화꽃 만들기이번에는 국화꽃을 만들어 봅시다. 우선 30㎖ 의 플라스크에 ... ...
달걀 속의 작은 수소폭탄
과학동아
l
1993년 02호
슈퍼달걀을 만든다면 맥가이버 아저씨도 놀라겠죠? 말랑말랑한 달걀도 만들 수 있어요.
식초
에 생달걀을 담가두고 하루정도 놔두면 돼요(콜라에 담가두어도 돼요). 식용 색소를 첨가해서 껍질이 모두 녹기 전에 꺼내면 여러 색의 말랑말랑한 달걀이 되고, 그대로 계속 담가두면 껍질 안쪽의 반투막에 ... ...
꿈틀거리는 무지개 뱀의 겨울나들이
과학동아
l
1993년 01호
거품을 만들어 볼까요? 우선 따뜻한 물에 베이킹파우더를 녹이고 세제를 조금 넣은 후
식초
나 약국에서 파는 빙초산을 넣어 보세요. 거품이 잘 생기지 않고 색깔이 예쁘지 않다구요? 그럼 불에 올려 놓고 살짝 가열해 보세요. 식용색소도 조금 넣고. 멋있는 거품이 만들어졌죠?거품의 과학거품이란 ... ...
지구온난화 막아주는 CO₂고정화기술이란?
과학동아
l
1992년 11호
전극으로부터 전자를 ${CO}_{2}$로 보내어 전기 화학적으로 ${CO}_{2}$를 환원시킨후 CO
식초
산 메탄 및 에틸렌 등 다양한 화학제품으로 전환시키고자 하는 것이다. 이 경우 전극의 재질 및 촉매의 종류에 따라 조금씩 공정이 달라진다.천연 광합성 작용을 모방한 방법도 있다. 천연 광합성 작용시 물 대신 ... ...
(2) 유해시비 붙은 식품첨가물들
과학동아
l
1992년 03호
살리칠산(salicylic acid)은 거의 모든 식품에 대해 방부력을 가진 약품인데 현재도 술이나
식초
빵 등에 첨가되곤 한다. 그런데 이 약품은 무좀약의 주성분이기도 하다.붕사(${H}_{3}{BO}_{3}$)과 붕산(N${A}_{3}$B${O}_{3}$)는 안과 또는 외과용 소독제로 사용하는 약품인데 세계보건기구(WHO)와 ... ...
「운동선수의 발」 무좀
과학동아
l
1991년 08호
등 민간요법이 있으나 그것으로 근본적인 치유를 기대하기는 어려울 것으로 생각된다.
식초
또는 성분이 잘 알려지지 않은 민간요법 치료제들은 접촉성 피부염을 유발하기 쉬우며 오히려 악화시킬 수 있으므로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다.무좀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무좀이 생긴 부위를 만진 다음에 ... ...
하늘에서 레몬주스가 떨어진다
과학동아
l
1991년 06호
주범인 산성비와 산성눈은 이미 심각한 상태. 레몬주스나
식초
정도의 산도(酸度)를 갖고 있는 시큼한 비를 맞으면…문제1. 산성비의 주원인은 대기중에 포함돼 있는 이산화황이다, 이산화황은 대기 중에 포함돼 있는 수분과 결합, 동식물에 피해를 주게 된다. 그런데 산성비보다 겨울의 산성눈은 ... ...
금속은 건강에 어떤 영향을 미치나?
과학동아
l
1991년 01호
Zn) 주석(Sn) 안티모니(Sb) 등이 통조림용기나 식기에 든 산성식품, 예를 들면 청량음료
식초
등에 의해 용출되면 중독을 일으킨다. 중독의 증상은 복통 설사 어지러움증 메스꺼움 등인데 대개 급성으로 나타난다.현대인은 점점 가공처리한 식품을 먹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다. 따라서 식품을 정제하는 ... ...
「과학교과서는 재미없다」는 통념 불변
과학동아
l
1990년 04호
왜 파랄까.' '전기는 어떻게 해서 발명됐을까.' '지구는 왜 삐딱하게 돌까.' '왜 하늘에선
식초
같은 비가 내리지.' 누구든지 한번쯤은 가져봄직한 의문들이다.고등학교 과학교육을 정상적으로 받았다해도 이러한 의문은 쉽게 풀리지 않는다. 다만 대학입시를 위해 열심히 암기했던 세포의 구조나 ... ...
PARTⅢ 리액터 REACTOR
과학동아
l
1989년 12호
이끌어생체세포, 특히 미생물을 대상으로 하는 발효기술은 전통적으로 술 간장
식초
요구르트 등 공업적 발효로부터 발달해 왔다. 따라서 그 기술 자체가 과학적인 실험데이터에 의한 것이라기 보다는 발효기술자의 경험에 입학한 것이 대부분이다.그러나 과학기술의 수준이 급진적으로 발달하고 ... ...
이전
8
9
10
11
12
13
1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