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가루사탕
사탕
각설탕
사탕가루
d라이브러리
"
설탕
"(으)로 총 495건 검색되었습니다.
특집3. 사람 살리는 당
과학동아
l
2006년 02호
당과 닮아지금까지
설탕
의 다량 섭취에 대해 경고를 많이 들어왔기 때문에 치료하는
설탕
이라고 하면 어딘가 모순된 것처럼 여겨질지 모른다. 그러나 실제로 당 관련수많은 의약품이 이미 허가를 받아 사용되고 있다.조류독감 때문에 유명해진 타미플루도 산성 당인시알산과 구조가 비슷하다. ... ...
한 여름에 눈 내리는 화이트 크리스마스~!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16호
물에
설탕
을 녹일 때 뜨거운 물에서 더 잘 녹는 것을 볼 수 있지요. 염화암모늄이나 소금,
설탕
과 같이 물에 녹는 물질은 물의 온도가 높으면 더 많이 녹고 물의 온도가 낮으면 적게 녹는답니다.물의 온도가 높은 때는 많이 녹아 있던 물질이 온도가 낮아지면서 녹지 않은 상태로 결정이 만들어지는 ... ...
무지개 소녀의 아주 특별한 여행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15호
보라색 물감을 차례로 타서 무지개 용액을 만든다.4. 메스실린더에 7번 비커의 보라색
설탕
물을 스포이트로 적당히 넣는다.5. 같은 방법으로 남색부터 빨강색까지 스포이트로 빨아들인 후 컵의 벽을 타고 용액이 흐르도록 천천히 넣어 준다.6. 예쁜 일곱 색깔 무지개탑 완성!과학해결사들이 ... ...
신장개업 위대한 밥상
과학동아
l
2005년 11호
가공식품에 대한 의존을 줄이고 가능하면 신선한 재료를 덜 짜게 먹는 것이 나트륨과
설탕
을 줄이는 지름길이다.한국인 영양섭취기준은 식이섭취 평가, 영양교육과 프로그램 자료 제작, 질병위험도 평가, 영양표시와 식품 마케팅, 영양정책 등 다양한 분야에 활용될 수 있다. 그러나 새 기준은 ... ...
철새 이동으로 조류독감 바이러스 유럽까지 전파
과학동아
l
2005년 11호
회로 전자계산체계 등에서 논리회로의 and 회로가 그 본보기이다3당류 겐티아노스를
설탕
효소 또는 산으로 부분 가수분해하여 얻는다 당류의 일종 구조는 6-Ο- β -D-글루코피 라노실-D- 글루코피라노스 자연계에는 글리코시드로서 존재하며 D-글루코스의 산 처리물 속에도 이소엿당과 함께 들어 ... ...
나노 바코드 레이블
과학동아
l
2005년 09호
놓은 것이 솜사탕이라는 하나의 덩어리를 구성하고 있다 마찬가지로 곰팡이의 몸체도
설탕
에서 뽑은 실이 솜사탕을 구성하듯, 곰팡이의 실, 즉 균사가 곰팡이의 몸체를 구성하는 것이다 이 균사는 여러 개의 핵을 가지지만 클로로필이 전혀 없어 광합성을 하지 못하고 기생하면서 영양분을 ... ...
파스퇴르의 백조목 플라스크 실험
과학동아
l
2005년 08호
유지하고 있다고 한다. 백조목 플라스크 실험은 실험실에서 쉽게 재현할 수 있다. 단
설탕
을 넣은 효모액 대신 다른 영양액을 쓸 경우에는 더 오랫동안 끓여줘야 하며 이는 파스퇴르 본인이 실험으로 확인하기도 했다. 1861년 파스퇴르가 자연발생설을 반박하자 그에 대한 반론은 계속됐다. 예를 들어 ... ...
허풍을 마시는 음료수
과학동아
l
2005년 07호
이 교수의 설명이다.그렇다면 아미노산 음료는 전혀 효과가 없을까. 손숙미 교수는 “
설탕
같은 당분 외에 미량이나마 단백질이 들어있는 것은 장점”이라면서도 “그 양이 너무 작아 거의 0%에 가깝다”고 말한다. 기능성 음료라고 하지만 사실은 맹물과 마찬가지인 셈. 손 교수는 “단백질 양만 ... ...
우주선 블랙박스
과학동아
l
2005년 06호
메틸 에스테르이다 아미노산계 식품으로 단맛이
설탕
의 180배, 당뇨병 환자에게
설탕
대용으로 사용된다 L-아스파라긴(asparagin)산과 L-페닐알라닌(phenylalanin)이 결합된 펩티트 (peptide)이며 필수아미노산의 하나로 미국의 의약품 제조업체인 G D 설사(社)가 개발했다 한국에서는 1984년에 일본에 이어 ... ...
분자도 뭉치면 강하다
과학동아
l
2005년 06호
수용체가 있는 곳에 가 달라붙을 것이다. 실제로 연구단은 대장균이 들어있는 배지에
설탕
나노캡슐을 넣었더니 섬모에만 달라붙는 사실을 확인했다. 대장균 섬모에는 만노오스 수용체가 있다. 만노오스를 다른 성분으로 바꾸면 원하는 곳에만 선택적으로 달라붙는 나노캡슐도 만들 수 있을 것이다 ... ...
이전
29
30
31
32
33
34
35
36
3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