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풍미
향미
미각
향기
정취
경험
뉴스
"
맛
"(으)로 총 963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석기의 과학카페] 생쥐의 앞발이 손이 되지 못한 사연
2017.08.01
유명 연주자들)로만 듣다가 유튜브로 연주장면을 ‘시청’하니 클래식 연주도 ‘볼
맛
’이 쏠쏠하다는 걸 발견했다. 특히 빠른 템포에서 연주자들의 손을 클로즈업한 화면이 눈길을 사로잡았는데 현을 짚고 건반을 두드리는 현란한 손놀림이 경이로웠다. 세 사람의 연주를 지켜보다 문득 ‘인간이 ... ...
[카드뉴스] 음식이 바꾼 인류 유전자 지도
동아사이언스
l
2017.07.26
물로 분해합니다. 더위가 심한 인도에서는 발한작용으로 인한 상쾌함을 얻기 위해 매운
맛
의 향신료를 흔히 쓰는데요. 인도인들이 만병통치약으로 생각하는 강황 뿌리에는 커큐민이라는 파이토케미칼 성분(식물활성영양소)이 들어 있습니다. 커큐민은 암세포의 성장을 돕는 NF-kappaB 유전자의 활동을 ... ...
[써보니] MS의 첫 노트북, '서피스 랩톱'
2017.07.21
키보드는 꽤 깊이 눌리는 편인데 가볍지 않고, 흔히 이야기하는 ‘쫀득하게’ 눌리는
맛
이 있다. 배열도 편하고 오타도 잘 나지 않는다. 터치패드의 질도 아주 좋다. 두 손가락으로 화면을 스크롤할 때도 매끄럽고 반응도 좋다. 손바닥이 닿으면서 생기는 오작동도 없다. 비교가 애매하긴 하지만 ... ...
물은 정말 무(無)
맛
일까?
과학동아
l
2017.07.13
않았음에도 계속 물통을 핥는 것을 확인했다. 연구팀은 보도자료를 통해 “이는 신
맛
수용체가 물을 인식한다는 명확한 증거”라고 말했다. doi:10.1038/nn.457 ... ...
아이들 스스로 콩과 채소를 먹게 하는 방법
2017.07.09
다르게 준비해주세요. 아이들은 익숙한 음식과 함께 가끔은 새로운 음식을 눈으로 보고
맛
볼 필요가 있습니다. 그렇게 해야 익숙하지 않은 음식에도 관심을 가질 수 있을 테니까요. 시작을 해야 다음도 있는 법입니다. 사실 엄마들 입장에서는 매 끼니 다른 음식을 준비하고 제공한다는 것이 힘들고 ... ...
냉라면 과학적으로 더
맛
있게 만드는 비법
동아사이언스
l
2017.07.07
만든다. 이 물질은 열에 약해 라면을 끓이는 동안 매운
맛
을 잃는다. 마늘을 구우면 매운
맛
이 사라지는 이치다. 냉라면에는 수프를 끓이는 과정이 없다. 따라서 수프에 있는 자극취성 물질이 사라지지 않고 고스란히 혀에 닿는다. 박성관 삼양식품 식품연구안전센터 부장은 “전분 함량이 높은 ... ...
[과학Dream_3화] 바라나시에서 신의 나라를 만나다
2017.07.01
자식 모두를 교육하기 시작한 시발점이죠.” 이들리(우리나라의 기주떡(술떡)같은
맛
의 쌀로 만든 빵), 으깬 감자, 카레로 구성된 ‘남인도식 집밥’을 내어주며 싱 교수는 인도 여성들의 과학 교육수준을 높이기 위한 인도 정부•대학 차원의 노력에 대해 강조했다. 역사적으로 살펴보면 2000년 ... ...
[때와 곳 11] 맥줏집: 단골이 될 만한 맥줏집은 왜 드문가
2017.06.24
좋지 않지만 초기에는 손님이 별로 없어서 간혹 산울림이나 딥 퍼플 등 (나로서는) 술
맛
나는 음악을 신청해서 듣곤 했다. 다행히 날이 갈수록 그 맥줏집의 빈 테이블은 손님들로 채워졌고 최근에는 갈 때마다 붐볐다. 그러자 소음이 문제였다. 어느 맥줏집이든 크든 작든 소음은 있기 마련이지만, ... ...
호주 바다의 초록빛 불가사리
팝뉴스
l
2017.06.22
빛을 내는 것은 천적에게 경고하기 위함이라고 CSIRO의 과학자들은 설명한다. 자기가
맛
없는 먹잇감이니 먹으면 후회할 것이라는 신호라는 것이다. 아래는 ‘붉은 가시가 돋은 게’이다. 가시는 천적의 위험으로부터 자신을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균형미가 뛰어나 작은 인공 조형물처럼 보인다. ... ...
코끼리가 초속 6cm로 똥 누는 비결은?
과학동아
l
2017.06.12
이 e메일 인터뷰에서 이렇게 말했습니다. 예로부터 인류는 똥의 질감과 냄새(심지어
맛
도!)를 관찰해 건강 상태를 파악하곤 했습니다. 동물의 건강을 관리하거나 소화생리학을 밝히려면 응당 똥에 대해서도 연구를 해야 하죠. 그런데 현실은 좀 다른 듯합니다. 똥에 대해 말하면 예의가 없거나 ... ...
이전
46
47
48
49
50
51
52
53
5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