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조리"(으)로 총 337건 검색되었습니다.
- [Culture] 혼밥족을 부탁해, 3대 간편식 분석과학동아 l2018년 01호
- 레토르트 파우치에 담긴 음식을 데워 먹는 식이다. 하지만 전시 같은 급박한 환경에서 조리하기 어렵다는 단점이 부각돼 II형 전투식량이 개발됐다. II형 전투식량은 동결건조식으로 끓는 물 대신 찬물을 부어도 불려 먹을 수 있다. 하지만 먹을 만한 쌀이 되기까지 걸리는 시간은 40분 이상으로 ... ...
- Part 5. 내 몸은 내가 지킨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4호
- 따라서 만약의 상황에 미리미리 대비를 해야 한답니다. 집에는 물, 통조림, 과자 등 조리를 하지 않고 먹을 수 있는 음식을 넉넉하게 챙겨 두어야 해요. 손전등, 건전지, 상비약, 라디오도 언제든 사용할 수 있게 준비해 두면 좋지요. 또한 생존에 필요한 물건들이 들어 있는 ‘생존 가방’을 꾸려서 ... ...
- [Origin] 미라가 알려주는 조선 양반 사망 사건의 전말과학동아 l2017년 11호
- 백과사전인 ‘오주연문장전산고(五洲衍文長箋散稿)’ 등에는 민물 게로 게장을 담그는 조리법이 쓰여 있다. 특히 ‘증보산림경제’에는 민물 게를 소금물과 간장에 담근 지 5~6일 뒤에 꺼내라고 적혀 있다. 이대로 민물 게장을 만든다면 폐디스토마에 감염될 가능성이 충분히 높다. 또한 조선 후기 ... ...
- [Origin] 쇼미더맛 제6의 맛 쟁탈전과학동아 l2017년 10호
- 낸다고 주장했다. 오랫동안 푹 끓인 고깃국이나 발효가 잘 된 된장이나 간장, 치즈처럼 조리 시간이 길어질수록 코쿠미가 많이 생기는데, 이런 코쿠미가 단맛이나 짠맛, 감칠맛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는 것이다(doi:10.1016/j.foodchem.2013.03.070). 지금까지 학계에서는 고기와 젖, 채소 등을 오랫동안 ... ...
- [Focus News] 햄버거병, 햄버거는 억울하다과학동아 l2017년 08호
- 최근 햄버거 논란이 뜨겁다. 햄버거병이라고도 불리는 용혈성요독증후군(HUS)에 걸려 신장 기능의 90%를 상실한 5세 여자아이의 부모가 한국맥도날드를 검찰 ... 알게 됐다. 햄버거뿐만 아니라 모든 음식점과 가정에서 더 위생에 신경을 써서 음식을 조리하는 데 경각심을 높일 필요가 있다 ... ...
- [Issue] 유통기한, 넘겨도 괜찮다?과학동아 l2017년 07호
- 2012년에 소비기한 표시를 시범적으로 시행한 적이 있는데 과자류, 면류, 즉석조리식품 등의 소비기한이 유통기한보다 한 달가량이나 길었습니다. 물론 포장을 뜯지 않은 상태에서 표시된 보관기준을 준수할 경우에요.즉석밥 유통기한 유난히 긴 이유?날씨가 더우면 냉장고에 넣어놓은 밥도 상하는데 ... ...
- [Issue] 편리한 현대의 딜레마, 포장지 속 과불화화합물과학동아 l2017년 07호
- 이름은 낯설지만 방수제와 윤활제, 페인트와 잉크, 종이, 섬유, 카페트, 조리도구, 반도체 세정제, 소화약제까지 안 쓰이는 곳이 없다. 특히 반질반질하게 코팅된 종이 음식 포장지에는 두세 개 중 하나에 과불화화합물이 쓰였다. 과불화화합물은 다른 물질은 따라올 수 없는 발수력(물을 튕겨내는 ... ...
- Part 4. 토종 제빵효모 ‘빵 한류 시대’ 이끌까과학동아 l2017년 06호
- 때문이었다. 하지만 단팥빵의 고향은 옆 나라 일본이다.같은 질문에 이광석 경희대 조리·서비스 경영학과 교수는 “없다”고 답했다. 우리나라에 전통빵이 (아직까지) 없는 이유는 오래전부터 쌀을 주식으로 삼았기 때문이다. 또 한반도에서 자라는 밀은 글루텐이 적은 탓에 반죽을 해도 잘 ... ...
- [Culture] 과학동아가 선정하는 이달의 책과학동아 l2017년 06호
- 원리를 찾아낸다. “물리라는 도마 위에 놓인 ‘바이오로깅이 얻어 낸 행동 데이터’는 조리법에 따라 전혀 새로운 것으로 다시 태어날 잠재적인 가능성을 가진다.”(269쪽) 저자는 자신의 연구분야에 ‘펭귄 물리학’이라는 귀여운 이름을 붙였다.저자가 타고난 다정함으로 적어 내려간 문장들을 ... ...
- Part 1. 문명이 낳고 과학이 키우다과학동아 l2017년 06호
- 식문화는 대륙마다, 나라마다 다르다. 예로부터 빵은 주로 서양에서 주식으로 먹었다. 하지만 지금은 세계가 글로벌화되면서 우리나라를 비롯한 동양에서도 많은 사람들이 밥 대신 빵을 먹는다. 인류는 언제부터 빵을 먹기 시작했을까. 빵은 언제, 어디서, 어떻게 탄생했을까. 어디로부터 어디로 전 ... ...
이전6789101112131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