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식용개구리
개구리
개구락지
식용식물
식물
d라이브러리
"
식용
"(으)로 총 356건 검색되었습니다.
(2) 유해시비 붙은 식품첨가물들
과학동아
l
1992년 03호
정제한 가짜
식용
유, 일본에서 들여온 디페닐 염소(diphenyl chloride)가 함유된 살인
식용
유 등도 큰 충격을 던졌다.농약 항생제 BHT BHA 등을 마구 사용해 부패를 방지한 생선 어묵 냉동어육, 공업용 색소로 '치장한'(염색한) 가짜 영광굴비 등도 소비자들을 바짝 긴장시켰다. 또 질소 비료의 성분물질을 ... ...
초대형 대합 인공 양식에 성공
과학동아
l
1992년 03호
현재 여덟종의 대합이 양식되고 있다. 그중 두종(Tridacna crocea와 Tridacna maximas)는
식용
이고 한 종(Tridacna gigas)은 수족관의 관상용이다.대합들은 해수탱크 안에서 일정 기간 자란 뒤 산호초에 옮겨져, 그곳에서 자라게 된다 ... ...
신경화학물질로 비만치료
과학동아
l
1992년 02호
경우가 많다.미국 일리노이주에 있는 아포트사에서 개발한 콜레시스트키닌(CCK)은 일종의
식용
억제제로 1년 이내에 임상실험을 할 계획이다. 동물실험에서 충분히 의도했던 효과가 나타나 연구자들은 임상실험 결과도 낙관하고 있다. 그러나 CCK분자가 매우 커 경구투여가 어렵다는 점이 문제점. ... ...
콜레스테롤의 정체
과학동아
l
1992년 02호
영양적으로나 위생적으로나 훌륭한 식품으로 간주할 수 있다. 하지만 공업용으로 정제된
식용
유가 그만큼 몸에 좋을까는 의문이다. 제조공정상 자연적인 항산화물 대신 합성 항산화제가 첨가되기 때문이다.만약 항산화제가 부족하거나 아예 없어서 불포화지방산이 산소와 결합하면(산화되면) ... ...
영계백숙과 개장국은 건강의 담보물인가?
과학동아
l
1991년 11호
있고 그 효용이 인정돼 있는 것은 약물이며 특별히 치료 목적이 아니고 일반적으로
식용
에 공하는 것은 식품'으로 간주, 수출입 요령이나 관세율에 차등을 두고 있다.반 이상이 위약효과를 경험해건강식을 말하고 그 허실을 논하려면 먼저 위약효과(僞藥效果, placebo effect)라는 말을 이해할 필요가 ... ...
5.극심한 생물계의 수난
과학동아
l
1991년 08호
될 것이다. 아울러 생물자원을 지속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길이기도 하다. 야생 동식물은
식용
품, 섬유나 석유의 대용품, 약품 등으로 활용할 수 있는 잠재적인 큰 저장고다. 지금은 지구촌의 모든 사람이 자연을 두려워하고 존중하면서 그 보존에 힘을 기울여야 할 때다 ... ...
꼬막과 피조개는 어떻게 다른가?
과학동아
l
1991년 08호
손바닥만한 조개의 살을 잘라 넣는 경우도 있는데, 이는 서남해안에 많이나는 개조개다.
식용
으로 쓰는 패류로 홍합(Mytilus coruscus)을 뺄 수 없다. 큰 것은 길이가 15㎝가 넘으며 주로 동남해안의 수심 20m 까지 분포한다. 껍질이 예쁘고 살이 아주 맛이 있다. 주로 동해안에 많이 나기 때문에 동해부인 ... ...
동물계의Mr. 클린 오소리 "나와 너구리를 같이 취급하지 말라"
과학동아
l
1991년 07호
그저 모필이나 솔 따위를 만드는데 사용할 정도다. 고기는 비교적 기름기가 많아서
식용
으로 유용하다. 특히 한방에서는 신경통에 좋다고 해서 한때는 오소리가 거의 멸종할 정도로 남획되기도 했다 ... ...
정말 뚱보가 되는 지름길인가?
과학동아
l
1991년 07호
아이스캔디나 샤베트 등은 아이스크림과 구별, 빙과류라고 한다. 색깔을 내기 위해
식용
색소는 무엇을 사용했고 언제 만든 것인지를 표시하도록 법령으로 정하고 있다.우리나라의 아이스크림시장은 연간 약 4천억원 정도지만 해마다 소비가 늘어나고 있다. 특히 특별소비세의 조정으로 고급품의 ... ...
음식으로 공해를 씻어낸다
과학동아
l
1991년 04호
쉽게 아물게 한다고 기술돼 있을 정도다.「행복정」의 원료로우리나라에서 미역을
식용
으로 애용한 역사는 매우 오래되었다. 예컨대 고려 충선왕 때 원나라 황태후에게 미역을 진상했다는 기록이 남아 있다. 또 동국여지승람에는 조선조 성종때 전라도 광양에서는 이미 4백년 전부터 김을 토산(土産 ... ...
이전
26
27
28
29
30
31
32
33
3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