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설탕"(으)로 총 495건 검색되었습니다.
- 온 몸이 느끼는 맛 이야기 1. 혀에서 느끼는 5가지 맛과학동아 l2016년 08호
- 맛은 인체에 필수적인 영양과 이온 성분을 알려주고, 독성은 피하게끔 하는 신호로 진화했다. 특히 설탕이나 과당, 탄수화물 등 단맛 물질은 다른 맛 물질에 비해 수용체와 결합하는 능력이 상당히 약하다. 단맛에 질리는 시간을 최대한 늦춰서 우리 몸이 당을 최대한 많이 먹도록 하기 위해서다. ...
- [한자 과학풀이] 과학마녀 일리의 한자과학풀이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8호
- (+) 전하를 띠는 나트륨 양이온과 (-) 전하를 띠는 염소 음이온으로 나뉘거든요. 하지만 설탕은 이처럼 이온으로 분리되지 않기 때문에 전해질에 포함되지 않지요.‘전해질’을 이루는 한자를 풀어 보면 뜻을 쉽게 이해할 수 있어요. 첫 번째 글자인 ‘번개 전(電)’은 전기를 뜻하며, 두 번째 글자인 ... ...
- [News & Issue] ‘브레인푸드’, 있다, 없다?과학동아 l2016년 07호
- 많은 고기, 설탕 함량은 낮다는 것도 공통적인 특징이지요. 가공식품·고지방 고기·설탕은 뇌에 염증을 유발해 기분장애를 일으키고, 좌측 해마 크기를 상대적으로 작아지게 만든다는 연구 결과가 최근 나오고 있습니다.특히 세 식단의 공통분모 중 하나인 해산물의 경우, 뇌에 알츠하이머성 치매와 ... ...
- 단맛 실험실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6호
- 연구실에 솜사탕 기계를 설치하고 인공혈관을 만드는 연구를 시작했어요.연구팀은 설탕 대신 ‘PNIPAM’이라는 물질로 실뭉치를 만들었답니다. PNIPAM은 인공적으로 만든 사슬 모양의 화학물질로, 평소엔 액체 상태지만 32℃ 이상의 온도에선 사슬들이 서로 결합해 고체로 변해요. 온도에 따라 상태를 ... ...
- [News & Issue] 어서와, 이런 알바는 처음이지?과학동아 l2016년 05호
- 맛도 이와 비슷할 것이다. 하지만 너무 달게 만들어도 곤란하다. 유 연구원은 “실수로 설탕을 많이 넣은 적이 있는데 초파리가 밥에 파묻혀 나오질 않았다”고 말했다.마지막 간은 산성 용액으로 한다. 이것 역시 초파리의 기호에 맞춘 것이다. 초파리는 주로 부패한 환경에서 자라는데, 부패가 ... ...
- [News & Issue] 밤에 과자 피해야 할 또 하나의 이유과학동아 l2016년 02호
- 음식을 먹었을 때와 그렇지 않을 때의 수면 형태를 5일간 조사했다. 그 결과, 포화지방과 설탕을 많이 먹은 경우는 깊은 수면인 서파수면(slow wave sleep)이 지속되는 시간이 매우 짧았고, 건강한 식단을 먹었을 때보다 잠이 드는 데 시간이 2배가량 더 걸렸다. 피에르 교수는 “나쁜 식습관이 수면의 ... ...
- [Knowledge] 강철이 연료가 되는 세상과학동아 l2016년 02호
- 그러나 금속 연료는 분말 특유의 응집 현상 때문에 양 조절이 쉽지 않다. 마치 밀가루나 설탕 가루를 오래 두면 뭉치는 것과 비슷하다.2005년 미국 오크리지 국립연구소의 ‘철로 달리는 자동차’ 개발 계획은 이런 도전과 실패의 상징이다. 당시 연구소는 휘발유 대신 나노 크기로 만든 철가루를 ... ...
- [헷갈린 과학] 꿀 VS 조청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2호
- 어떤 식물의 단물을 얻었는지에 따라 아카시아꿀, 밤꿀, 메밀꿀 등으로 나뉘지요. 꿀은 설탕과 달리 단백질, 비타민 C, 비타민 B 복합체를 포함하고 있어 신진대사를 활발하게 하고 피로 회복을 돕는답니다.그런데 꿀벌은 한 번에 많은 양의 꿀을 옮길 수 없어요. 그래서 우리가 먹는 한 숟가락의 꿀을 ... ...
- [Tech & Fun] 토끼를 잡는 데 전력을 다한 사자는…과학동아 l2016년 02호
- 포 도당은 정신력 충전에 도움이 된다. 의지력 사용으로 자아 고갈 현상이 일어났을 때, 설탕물을 마신 사람들이 다른 음식을 섭취한 사람들보다 빨리 회복했다(doi:10.1037/0022-3514.92.2.325). 참고로 의지력과 관련이 있는 우리 뇌는 체내에서 가장 많은 포도당을 사용하는 기관이다.혈당이 떨어지면 ... ...
- Part 4. 맛의 비법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22호
- 미오신이라는 단백질을 녹여 고기를 부드럽고 쫀득하게 만드는 능력도 있어요.한편 설탕은 소금의 짠맛을 중화하고, 고기에서 수분이 너무 많이 빠져나가는 걸 막아요. 고기의 단백질과 결합해 고기 특유의 맛을 높이는 역할도 하지요. 마지막으로 식품첨가물인 아질산염을 넣어 고기색을 좋게 하고 ... ...
이전11121314151617181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