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설탕"(으)로 총 495건 검색되었습니다.
- 보글보글 거품의 과학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02호
- 수 있는 프랑스 과자인 머랭과 마카롱은 둘 다 달걀흰자로 만든 거품이에요. 달걀흰자에 설탕을 넣어 거품을 낸 다음 저온에서 구워낸 것이지요. 지방이 많은 달걀노른자와 달리 흰자는 단백질이 많이 들어 있어요. 이 단백질이 계면활성제 역할을 하지요.흰자를 2분 정도 휘저으면 원래 부피의 8배나 ... ...
- [Life & Tech] 중요한 결정은 오전에 하자!과학동아 l2014년 01호
- 실제 우리 몸의 에너지원인 포도당과 같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의지력을 쓰고 난 뒤에 설탕을 먹은 사람들은 계속 의지력을 발휘할 수 있었지만, 단맛만 나는 조미료를 먹은 사람들은 여전히 의지력이 방전된 모습을 보였다. 의지력은 뇌의 활동 중에서도 많은 양의 포도당을 소모하는, 게임으로 ... ...
- 2014 결정학의 해 물질의 비밀 푸는 열쇠, 결정!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01호
- Richtig[리히티히] 맞아! 내가 바로‘ 요하네스 케플러’야. 지구가 우주의 중심이 아니라는 사실조차 받아들이려 하지 않을 때, 행성들이 태양을 타 ... 나무젓가락 대신에 털실이나, 물에 녹지 않는 음식을 이용해도 돼요. 딸기를 이용하면 설탕 결정이 덮인 예쁜 딸기를 만들 수도 있답니다 ... ...
- 대결! 무지개를 만들라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14호
- 그래서 빨강 물감을 섞은 물에 설탕을 가장 많이 넣었답니다.보세요! 우리가 만든 설탕무지개가 참 예쁘죠?2 액체로 만든, 물프리즘무지개히야, 굉장하구나! 하지만 나는 하늘에 뜬 무지개처럼 빛을 이용해 무지개를 만들어 보겠어!섭섭박사님, 그게 무엇인가요?핫하하, 이건 바로 물프리즘이야. ... ...
- PART2 물 건너 온 한국 음식 김치과학동아 l2013년 12호
- 오래 가는 이유가 뭘까. 핵심은 채소를 부패시키는 미생물을 없애는 것이다. 식초나 설탕이 채소 표면과 접촉하면 삼투압으로 인해 농도가 낮은 쪽에서 진한 쪽으로 물 분자가 이동한다(탈수작용). 이 때 배추의 수분만 빠져나가는 것이 아니다. 미생물의 세포막 안쪽에 있는 수분도 빠져나가며 ... ...
- [life & Tech] 설탕과 펙틴이 만나면 과일이 끈적끈적과학동아 l2013년 11호
- 있어요. 한 주걱 떠보니 잼은 충분히 끈적끈적해졌어요. 가장 맛있게 완성된 잼은 설탕의 농도가 약 65%랍니다. 이 농도로 적당히 졸여졌는지 수중낙하법으로 쉽게 알아볼 수 있어요. 찬물이 가득 차 있는 투명한 컵에 사과농축즙을 한 방울 떨어뜨린 다음 관찰하는 방법이지요. 즙이 물속에서 ... ...
- 젤라틴이 만드는 쫀득함의 비밀과학동아 l2013년 08호
- 것이 더 아삭아삭하고 맛있었답니다.그래서 생크림을 넣지 않고 우유와 바닐라향료, 설탕만으로 아이스크림을 만들어 보았어요. 결과물은 역시 아이스크림보다 셔벗에 가까웠어요. 혀로 핥아보면 일반 아이스크림보다 거칠고, 이로 베어 물면 푸석푸석하게 부서지면서 갈라졌거든요. 하지만 일반 ... ...
- [7월] 도전! 과학동아 청소년기자과학동아 l2013년 07호
- 200배 정도 강하기 때문에 다이어트 콜라를 만들 때에는 콜라와 같은 단맛을 내기 위해 설탕의 1/200만 넣으면 된다. 즉 같은 양의 용매(물)에 적은 양의 용질(아스파탐, 설탕)이 들어갔기 때문에 다이어트 콜라의 밀도가 더욱 작은 것이다.콜라와 다이어트 콜라를 비교해보면서 어떠한 차이점이 있는지 ... ...
- [life & Tech] 42° 고개를 들면 무지개가 보인다과학동아 l2013년 07호
- 0cm 정도의 검은 판지, 투명한 분무접착제만 있으면 된다. 유리구슬은 지름 0.1~0.25mm정도의 설탕처럼 생긴 ‘유리구슬 분사제’여야 한다. 분무접착제를 검은 판지에 뿌리고 유리구슬을 ‘솔솔솔’ 뿌렸다.유리구슬이 판지에 달라붙는지 확인한 뒤, 판지를 잡고 가볍게 ‘통통’ 튕기면 유리구슬이 ... ...
- 글루텐과 이스트의 맛있는 합작과학동아 l2013년 06호
- 볼에 강력분(300g)을 수북하게 담았어요. 밀가루 더미 위에 이스트(효모, 4g)와 소금(2g), 설탕(50g)도 부었죠. 여기서 잠깐! 제가 딱딱한 식빵을 만들게 된 원인을 찾았답니다. 밀가루 더미에 재료를 넣을 때에는 이스트와 소금이 절대 만나서는 안 돼요. 이스트는 소금과 닿으면 삼투압현상으로 수분이 ... ...
이전15161718192021222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