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음식"(으)로 총 2,581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2. 논란 없는 황금비 작품수학동아 l2017년 02호
- 왼쪽에서 5번째입니다. 이 사각형을 가장 아름답다고 골랐나요?사실 사람마다 좋아하는 음식이나 음악이 다르듯 아름다움의 기준도 다 다릅니다. 아름다움을 수학적으로 설명한다는 것 자체가 억지 아닐까요? 어쩌면 1:1.618에 황금비라는 이름이 붙지 않았다면 이 비에 대한 사랑은 수학자에 ... ...
- [포커스 뉴스] 급격하게 퍼지는 AI 공포과학동아 l2017년 01호
- 5분 동안 가열하면 바이러스가 모두 죽는다. 치킨이나 오리구이, 달걀프라이처럼 가열한 음식은 대부분 안전하다.감염된 조류는 살처분, 미리 예방해야AI가 퍼짐으로써 축산 농가의 피해는 더 막대해지기 때문에 AI가 의심되거나 확인된 농가에서는 가금류를 모두 살처분하고 있다. 조류 사이에 ... ...
- [공룡은 왜? 1화] 공룡의 구애 행동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1호
- 얻기 위해 땅을 팠을 거라는 가설이에요. 코끼리와 같은 네 발 달린 초식동물은 물이나 음식을 찾기 위해 땅을 파는 행동을 하거든요.하지만 구덩이의 주인공인 아크로칸토사우루스는 대표적인 육식공룡이에요. 또한 당시 이 지역은 물이 풍부했기 때문에 굳이 물을 얻기 위해 땅을 긁거나 파낼 ... ...
- [Future] 미래 바꿀 7대 기술은 무엇?과학동아 l2017년 01호
- 광고하거나 판매하는 분야에서만 쓰이는 게 아니다. 예를 들어 어떤 사람이 좋아하는 음식, 즐겨 하는 행동 데이터를 기반으로 그 사람의 향후 질병 발생 가능성을 예측하고 질병 예방을 위한 행동 변화를 제시할 수 있다. VR(가상현실, Virtual Reality) 기기를 쓰는 순간, 눈앞에는 지금껏 전혀 본 적 ... ...
- [과학뉴스] 어디 사니? 날개 보면 알 수 있다과학동아 l2017년 01호
- 돼야했기 때문에 날개가 길고 뾰족하게 진화했다. 그에 비해 열대지역에서는 1년 내내 음식을 구할 수 있기 때문에 새들이 장거리를 여행할 필요가 없었다. 그 대신 나무 사이를 빠르게 통과할 수 있도록 날개가 점점 짧고 둥근 모양으로 변했다.논문의 제1저자인 조나단 케네디 박사후연구원은 ... ...
- Part 1. 사람은 얼마나 큰 힘을 낼 수 있을까?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4호
- 움직인다는 사실은 변함이 없어요.그런데 사람도 동력기관이라고 할 수 있어요. 우리도 음식을 먹어 에너지를 얻고, 그 에너지로 매일 움직이거나 물건을 드는 등의 일을 하기 때문이죠. 사람이라는 동력기관은 왼쪽 페이지에서 볼 수 있듯이 생각보다 훨씬 큰 힘을 낼 수 있답니다. 그 중에서도 ... ...
- [헷갈린 과학] 밤 vs 말밤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2호
- 엄마와 길을 걷다가 밤처럼 생긴 열매를 발견했어요. 그런데 껍질이 조금 이상해서 엄마께 여쭤 보니 밤이 아니라고 하셨어요. 밤이랑 정말 똑같이 생긴 이 ... 우리나라에서는 말밤을 먹지 않아요. 하지만 외국에서는 독성이 있는 성분을 제거하고 과자 같은 음식 재료로 쓰기도 한답니다 ... ...
- Part 1. 우리 뇌는 ‘감각 통합’ 중!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1호
- 하나의 결론을 내는 것이랍니다. 이것을 ‘감각통합’이라고 해요. 왼쪽에 나온 것처럼 음식을 먹는 것이 대표적인 예죠.이그노벨상을 받은 두 실험은 모두 이 감각통합과 관련돼 있어요. 단순히 사물을 보는 것뿐이라고 생각할 수 있는 히가시야마 교수의 실험도 사실은 다양한 감각이 동원됐죠. ... ...
- [요리교실] 대하로 즐기는 스페인 요리 '대하 까수엘라'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0호
- ‘대하(大蝦)’는 이름 그대로 몸집이 큰새우를 말한다. 가을이 되면 완전히 성장한 새우가 더 깊은 바다로 나가기 위해 이동하는데, 이때가 새우의 살이 통통하고 맛이 가장 좋다. 특히 이 시기의 대하는 아미노산과 칼슘, 철분 등 영양소가 풍부해 뼈 건강과 피로 회복에 좋다고 알려져 있다.자 ... ...
- [국립수목원과 함께하는 숲이야기 열] 다시 보자! 잡초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9호
- 새모래덩굴, 여뀌, 이질풀, 지칭개, 차풀 등도 약으로 썼지요. 지금도 이들은 나물 등의 음식 재료로 쓰이고 있답니다.정원을 가꾸다 보면 잡초들이 들어와서 자라요. 이들은 굳이 심지 않아도 잘 다듬어만 주면 일부러 심은 식물보다 더 잘 자란답니다. 심지 않았다고 힘들여 뽑아낼 필요가 없지요 ... ...
이전697071727374757677 다음